전체 글 1368

濯溪集

주기 -수록문집 : 1)濯溪集, 全致遠 著 -간략목차 : 濯溪集 濯溪先生世系圖 濯溪先生年譜 卷一 卷二 附錄 卷三 附錄 全致遠 전치원(全致遠, 1527∼1596)의 자는 사의(士毅)이고 호는 탁계(濯溪)이며, 본관은 완산(完山)으로 초계(草溪)에 거주하였다. 선생은 1527년(중종 22년)에 초계군 도방리(지금의 합천군 쌍책면하신리)에서 아버지 인(絪)의 아들로 태어났는데 공의 세계는생략한다 . 공이 남긴 문집은 『탁계집(濯溪集)』 5권 2책이 전한다, 수학 및 교육 : 선생은 15세(1541년)에 당시 재령(載寧)군수로 재임하고 있던 할아버지(永綏)를 따라가서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할아버지는 손자의 자질이 호방한 것을 알고 무예를 가르치고자 했다. 16세(1542년)에는 재령에 머물면서 여름에 『소..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초한연의 초(필사본, 조선후기)

초한연의 초(필사본, 조선후기) 명칭 초한연의 초(필사본, 조선후기) 다른명칭 楚漢演義 抄 국적/시대 한국-조선 분류 문화예술 - 문헌 - 문학 - 소설 재질 종이 - 저지 작가 필사자 미상 크기 가로 19.0cm, 세로 29.5cm 중국 소설 『초한지(楚漢志)』를 초략한 책. 조선후기. 필사자 미상. 필사본. 1책(36장). 무변, 무계, 14행 자수부정, 무어미. 표기문자: 한자, 표제: 楚漢演義, 권수제: 楚漢演義.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주례(周禮)

찬도호주주례 권1~12(목판본) 국립한글박물관 명칭 찬도호주주례 권1~12(목판본) 다른명칭 纂圖互註周禮 卷第一~十二 국적/시대 한국-조선 분류 종교신앙 - 유교 - 경전 - 기타 재질 종이 - 저지 작가 정현(鄭玄) 주(註) 크기 가로 19.5cm, 세로 30.1cm 소장품번호 한기 4073 유교 경전인 『주례(周禮)』에 도판과 해석을 덧붙여 편찬한 책. 조선후기. 정현(鄭玄127~200) 주(註). 목판본. 12권6책(영본, 권1~2: 86장, 권3~4: 90장, 권5~6: 115장, 권7~8: 71장, 권9~10: 78장, 권11~12: 71장). 사주쌍변, 반곽 20.2x14.3㎝, 유계, 9행15자, 주쌍행, 상하내향2엽화문어미. 표제: 周禮, 권수제: 纂圖互註周禮, 판심제: 天官上一, 天官下二..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池氏鴻史 池光翰(朝鮮) 편저.

池氏鴻史 일사 古952-J56j> 간행연도 미상. 池光翰(朝鮮) 편저. 1책(零本). 목판본. 29.2x20.2cm. 지광한(생몰년 미상)이 鑑戒될 만한 중국의 역사와 姓譜를 모아 해설하여 간행한 책. 저자 자신의 서문이 있는데, 이에 의하면 지광한은 영조 때의 학자로 평생 사학연구에 힘썼다고 한다. 이 책 외에 1750년(영조 26)에 간행된 완질본으로 , , , , 등이 남아있는데, 이 들은 총 17권 17책으로 되어 있다. {권1} 서 {권4} 지는 太古의 盤古부터 明朝까지의 중국의 역사를 다룬 帝王統紀 이고, {5권}에서 {17권}까지는 성씨별로 분류하여 각 성씨에 해당하는 인물의 略傳을 실은 姓氏韻彙로 나뉜다. 은 이 중 제 4권의 唐朝에서부터 明朝까지를 다룬 제왕통기의 마지막권이다. 자세한 목..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중용장구대전

중용장구대전 [ 中庸章句大全 ] 국적 > 시대 한국 재질 지(紙) 크기 가로 22 세로 33.5 용도 · 기능 사회생활 > 사회제도 > 교육(敎育) 소장처 서울교육사료관 유물번호 교육사료(교육사료) 110116-000 송(宋)나라의 주희(朱熹:朱子)가 지은《중용(中庸)》주석서. 《중용》은 중용의 덕과 도를 인간행위의 최고 기준으로 삼은 유교의 경전으로, 공자(孔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저작이라 알려졌다. 오늘날 전해지는 것은 오경(五經)의 하나인《예기(禮記)》에 있는 이 송(宋)나라 때 단행본이 된 것으로,《대학(大學)》《논어(論語)》《맹자(孟子)》와 함께 사서(四書)로 불리고 있으며, 송학(宋學)의 중요한 교재가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중용장구대전 [中庸章句大全] (e뮤지엄)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중용언해(中庸諺解)戊子新刊嶺營藏板

중용언해(中庸諺解) 서지사항 항목명 중용언해(中庸諺解) 용어구분 서명사전 분야 철학 유형 문헌 자료문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선조(宣祖) 대에 『중용(中庸)』의 원문에 한글 토를 붙이고, 한글로 풀이 한 책. [개설] 『중용언해(中庸諺解)』는 선조의 명에 따라 중국의 사서(四書) 가운데 하나인 『중용』의 원문에 한글 토를 붙이고, 한글로 풀이 한 책이다. 1책 55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587년(선조 20)에 완성되었다. 간행은 1590년(선조 23) 교정청(校正廳)에서 담당하였다. [편찬/발간 경위] 언해 사업이 본격화한 것은 선조 때부터라고 할 수 있다. 선조 대에 유숭조(柳崇祖)‧이황(李滉)‧이이(李珥) 등은 경전(經典)에 토를 붙이는 작업을 하였다. 이런 가운데 유희춘(柳希春..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죽계지존현록(竹溪誌尊賢錄)

죽계지존현록(竹溪誌尊賢錄) 자료UCI: RIKS+CRMA+KSM-WV.1909.0000-20140423.TOYO_1718 기본정보 기본정보 · 분류 고서-지리서 | 교육/문화-서원/향교 | 사부-원우류 · 작성주체 주세붕(周世鵬, 1495-1554) 편 · 판종 목판본 · 발행사항 [발행지불명] : [발행처불명], 1909 · 형태사항 5卷1冊 : 肖像, 遺墨 , 四周雙邊 半郭 20.0 x 15.6 cm, 有界, 10行20字 小字雙行, 上下內向2葉花紋魚尾 ; 29.3 X 19.9 cm · 주기사항 書名: 卷2卷首題 및 目錄題임 表題: 尊賢錄 卷1卷首題: 尊賢錄 版心題: 竹溪誌, 竹溪誌尊賢錄, 尊賢錄 序: 己酉(1909)...金鶴鎭謹序 跋: 隆熙三年己酉...二十一代孫[周]鍾冕謹跋 印: 在山樓蒐書之一 藏書記..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朱書百選

朱書百選 주서백선 朱 붉을 주 書 글 서 百 일백 백, 힘쓸 맥 選 가릴 선 단어장에 추가 북경생활 만세 비즈니스 중국어 중국어로 이메일을 새 단어장 만들기 > 추가 되었습니다 단어장을 공개하고 다른 사용자가 즐겨찾기로 추가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토익만점 단어장 단어장에 이미 추가된 단어입니다. 단어장 내용 확인 한국한자어사전new 예문열기 용어설명 국자원 國字源한국에서 만들어 써 온 고유한자의 형성원리. 이두어 吏한국말을 적는 데 한자의 음 또는 뜻을 빌린 한자나 한자어. 불교어 佛불경에 쓰이거나 불교도가 주로 쓰는 한자나 한자어. 차자어 借한국말을 적는 데 빌려 쓴 한자나 한자어. 국자 國字한국에서 만들어 써 온 고유한자. 국의 國義한국에서 특이하게 써 온 한자나 한자어의 뜻. 구결 口한문의 뜻을 명..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주역전의대전

주역전의대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주역전의대전 (周易傳義大全)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종목 유형문화재 제455호 (2019년 12월 5일 지정) 수량 1책 (2권 영본) 시대 조선 세종연간 소유 노성래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주역전의대전(周易傳義大全)은 명나라 영락제 성조(成祖)의 칙명으로 호광(胡廣) 등이 1415년에 편찬한 《오경대전(五經大全)》중의 하나이다. 2019년 12월 5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455호로 지정되었다.[1] 목차 1 지정 사유 2 조사 보고서 3 갤러리 4 각주 5 참고 문헌 지정 사유[편집] 《주역전의대전》(周易傳義大全)은 명나라 영락제 성조(成祖)의 칙명으로 호광(胡廣) 등이 1415년에 편찬..

카테고리 없음 2020.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