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68

文成公實記

문성공실기 [ 文成公實記 ] 요약 고려 말기의 명신 ·학자로 주자학( 朱子學 )을 연구하여 널리 보급시킨 안향( 安珦 )의 사적( 事蹟 )을 수록한 책. 구분 목판본 저자 안극권(安克權) 시대 1763년(조선 영조 39) 목판본. 1책. 1763년(영조 39) 후손 극권(克權)이 수집 간행한 것으로, 라고도 한다. 유상(遺像) ·세계원류(世系源流) ·사실대략(事實大略) ·유집(遺什) ·행록(行錄) ·비지(碑誌) ·화상찬(畵像讚) ·순흥백운동 건사수말(順興白雲洞建祠首末) ·장단봉잠건사수말(長湍鳳岑建祠首末) ·곡성도동묘기사(谷城道東廟記事) ·포숭사전(褒崇祀典) ·제문(祭文) ·제현찬술(諸賢撰述) ·제현시율(諸賢詩律) ·복예보본(僕隸報本) 등이 수록되어 있다. 책머리에 이정보(李..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吃窩集

흘와집 [ 吃窩集 ] 조선 말기의 유학자 이근옥(李根玉)의 시문집. 권 1 시 부분. 유형 문헌 시대 근대 성격 시문집 편저자 이근옥 제작시기 1910년 권수·책수 5권 2책 간행·발행·발급자(처) 이석로 소장처 고려대학교 도서관 목차 정의 내용 정의 조선 말기의 유학자 이근옥(李根玉)의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활자본. 1910년 아들 석로(奭魯)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권말에 조병규(趙昺奎)와 석로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33수, 만(輓) 33수, 뇌사(誄辭) 1편, 권2에 서(書) 60편, 권3에 서(序) 6편, 기(記) 10편, 발(跋) 2편, 찬(贊) 1편, 상량문 1편, 축문 4편, 제문 14편, 권4에 묘갈명 6편, ..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회찬 송악 악무목왕 정충록

회찬 송악 악무목왕 정충록 [ 會纂 宋岳 顎武穆王 精忠錄 ] 요약 나라에 대한 충성심을 고취하기 위해 중국 송나라의 충신 악비( 岳飛 )의 행적을 그림으로 그린 정충록으로 1769년 간행된 기록물이다. 회찬 송악 악무목왕 정충록 지정종목 시도유형문화재 지정번호 경남유형문화재 제346호 지정일 1999년 08월 03일 시대 조선 종류/분류 기록유산 정충록(精忠錄)은 나라에 대한 충성심을 고취하기 위해 중국 송나라의 충신 악비(岳飛)의 행적을 그림으로 그린 것이다. 이것이 조선에 도입되어 1584년(선조 17) 교서관에서 간행되었고 이것이 임진왜란 때 없어져 버려 1709년(숙종 35)에 다시 간행되었다. 1769년(영조 45)에는 조익도의 집에 있던 것을 다시 간행하였다. 모두 6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목..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한서

한서 [ 漢書 ] 요약 중국 후한( 後漢 )시대의 역사가 반고( 班固 )가 저술한 기전체( 紀傳體 )의 역사서. 구분 역사서 저자 반고 시대 중국 후한 12제기(帝紀)·8표(表)·10지(志), 70열전(列傳)으로 전 100권으로 이루어졌다. 《전한서(前漢書)》 또는 《서한서(西漢書)》라고도 한다. 《사기(史記)》와 더불어 중국 사학사상(史學史上) 대표적인 저작이다. ;한 무제에서 끊긴 사마천의 (史記)의 뒤를 이은 정사(正史)로 여겨지므로 '두 번째의 정사(正史)'라 하기도 한다. 처음 반고의 아버지 반표(班彪)가 《사기》에 부족한 점을 느꼈고, 또 무제(武帝) 이후의 일은 사기에 기록되지 않았으므로 스스로 사서를 편집코자 《후전(後傳)》 65편을 편집하였다. 하지만 반표는 완성을 보지 못하고 54년에 ..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한훤차록

한훤차록 [ 寒暄箚錄 ] 한훤차록 유형 문헌 성격 유집(類集)서 편저자 미상 권수·책수 5권 3책 소장처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목차 정의 내용 정의 서간문의 형식 및 내용에 대한 것을 유집(類集)한 책. 내용 5권 3책. 목판본. 편자는 나타나 있지 않으며, 정리자체철활자(整理字體鐵活字)의 목각본과 민간인이 만든 방정리자체철활자본 등이 전래되고 있다. 권1에 중봉식(重封式)·영진류(營鎭類)·절하류(節下類)·집사류(執事類)·개탁류(開坼類)·상서류(上書類)·피봉식(皮封式)·형주류(兄主類)·석사류(碩士類)·대감류(大監類)·존장류(尊丈類)·노형류(老兄類)·아문류(衙門類)·모관류(某官類)·태좌류(台座類)·시안류(侍案類)·배후류(拜候類)·근봉류(謹封類)·생례류(省禮類)·기두류(起頭類)·미심류(..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悔叟文集 조태문, 이훈호

회수문집 [ 悔叟文集 ] 유형 문헌 시대 조선 성격 시문집 편저자 이민식 제작시기 1910년 권수·책수 3권 1책 간행·발행·발급자(처) 조태문, 이훈호 소장처 동국대학교 도서관 목차 정의 내용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민식(李敏植)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910년 조태문(趙泰文)·이훈호(李薰浩)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이훈호의 발문이 있다.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은 시 179수, 권2는 서(書) 2편, 기(記) 6편, 설(說) 2편, 문(文) 3편, 권3은 부록으로 만장·제문·행장·묘갈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조 유학자의 시문집으로서는 특이하게 닭·개·소·말 등의 가축을 소재로 쓴 시와, 원효암(元曉庵)을 중건할 때 쓴 것으로 보이는 상량문이 포함..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蓬山浴行錄

『봉산욕행록』 [ 蓬山浴行錄 ] 분야 역사/전통 시대, 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출처 디지털부산문화대전-『봉산욕행록』 목차 정의 개설 편찬/간행 경위 형태/서지 구성/내용 의의와 평가 정의 1617년 한강 정구(鄭逑)가 신병 치료를 위해 동래 온천욕을 다녀오는 과정을 제자인 이윤우(李潤雨)가 기록한 책. 개설 『봉산욕행록(蓬山浴行錄)』은 정구[1543~1620]가 신병 치료를 위해 제자들과 함께 동래 온천욕을 다녀오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봉산욕행은 1617년 7월 20부터부터 동년 9월 4일까지 45일간 이루어졌다. 당시 정구의 나이는 75세로 세상을 떠나기 3년 전이었다. 편찬/간행 경위 『봉산욕행록』은 정구의 제자 이윤우가 정구의 동래 온천욕을 동행..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荷泉壽帖

荷泉壽帖 서평쓰기 서평쓰기 자료유형 고서 서명/저자사항 荷泉壽帖. 판사항 新鉛活字本 발행사항 [刊寫地未詳] : [刊寫者未詳], [刊寫年未詳] 형태사항 2卷, 附錄, 共1冊 : 揷圖, 四周雙邊 半郭 21.6 x 15.6 cm, 有界, 12行28字, 上下向黑魚尾 ; 31 cm 일반주기 荷泉은 朴炳執의 號임 附: 家庭賡錄 序: 乙卯(1915)冬十月朔朝 金羅趙鎬來序. 歲戊午(1918)孟夏 漢山安往居識 跋: 歲在戊午(1918)四月十一日 [朴]彩奎謹跋 주제명(개인명) 박병집朴炳執 --

카테고리 없음 2020.03.24

濯纓先生年譜 金大有 著

탁영선생연보 상(1/2) 나는 일찍이 탁영선생(김일손, 1464~1498)의 문집을 읽어보았는데, 하늘까지 간간이 기가 서리고 문장과 절개있는 행실이 한 시대의 으뜸이었다고 우암 송선생(송시열, 1607년~1689)이 그 서문에서 드러내어 밝혔으니(表章)[1] 가히 영원히 믿어 증거할 만하다. 그러나 선생의 도의가 기록된 자료와 조정에서 활약하신 여러 가지 사실에 관해서는 아직 상세한 것을 얻지 못하다가 선생이 돌아가신 지 400년 후에 연보가 나타났으니 선생의 조카 삼족당(김대유, 1479~1551)이 저술한 것이다. 후손들이 동남각지에 흩어져 살고 있어서 이 책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으므로 비로소 의논을 모아 간행, 배포하기로 하였다. 원집(기존의 문집)에서 빠지고 잘못된 점도 이 연보를 참조하여..

카테고리 없음 2020.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