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68

註釋白眉故事

中國 故事를 類門別로 엮어 놓은 故事事典 [주석백미고사(註釋白眉故事)] 소형 목판본 10卷 5冊 완질본으로 상태 양호한 편이다. 16.5×21.9cm [주석백미고사(註釋白眉故事)] 중국의 故事를 類門別로 엮어놓은 故事事典. 許以忠이 編集하고 鄧志謨가 校閱하여 10卷 5冊에 25部 269類의 고사를 모아 엮은 것이다. 여기 書名을 <白眉故事>라고 이름한 것은 당시 故事事典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이라는 뜻에서 붙인 것으로 보인다. 卷之1에는 <君道部>에 2個類(上皇·太后·皇帝·聖節·聖壽·皇后·太守·宗室·外戚·詔書·赦書·朝制)와 <官品部>에 15個類(宰相·參政·尙書·學士·諫官·御史·使臣·郡守·縣宰·幕官·縣丞·主簿·縣尉·吏연·武將), 一個類 안에도 여러 條의 고사가 실려 있다. 예를들면 上皇類에 太上皇·上徽號·..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선현 유묵 재현유묵

한자 先賢遺墨板木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남산리 525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병훈 [상세정보] 지도보기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남강 서원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유현들의 유필을 새긴 판목. [개설] 조선 후기 영남 지역에서는 문집 간행이 성행하였는데, 밀양 박씨 문중에서도 가문의 선양(宣揚)을 위한 작업을 일환으로 유묵의 판각을 실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 판목은 영남 지역 양반 사족들의 가문 선양의 구체적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 한편 이 『선현 유묵(先賢 遺墨)』은 1725년에 간행된 『국담 선생 문집(菊潭 先生 文集)』의 권2에 실려 있는 『추선록(追先錄)』 내에 수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보았을 때 이..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佔畢齋集 ( 점필재집 )

서명 : 佔畢齋集 ( 점필재집 ) 저자 : 金宗直 ( 김종직 ) 생몰년 : 1431 - 1492 자 : 季昷(계온) 호 : 佔畢齋(점필재) 본관 : 善山(선산) 거주지 : 未詳 판사항 : 木板本 발행사항 : [刊寫地未詳]: [刊寫者未詳], 1520年 형태사항 : 詩集 23권ㆍ文集 2권ㆍ彝尊錄 2권ㆍ年譜ㆍ附錄 合 9冊, 10행 19자, 22×17(㎝), 上下雜魚尾 분류기호 : - 소장정보 : - 간행정보 : 간행년 : 1789 주기사항 : 고문서 자료분류 : 대분류 : 집 중분류 : 한국문집총간 세분류 :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일산집(一山集) 일산 선생 문집(一山先生文集)

『일산집』 [ 一山集 ]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출처 디지털함안문화대전-『일산집』 목차 정의 저자 편찬/간행 경위 형태/서지 구성/내용 의의와 평가 정의 근대 함안 출신의 유학자 조병규의 시문집. 저자 조병규(趙昺奎)[1846~1931]의 본관은 함안(咸安)이며, 자는 응장(應章), 호는 일산(一山)이다. 어계(漁溪)조려(趙旅)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여음(廬陰)조성각(趙性覺)이고, 어머니는 이남주(李南柱)의 딸 전의 이씨(全義李氏)이다. 성재(性齋)허전(許傳)의 문인으로, 일산정(一山亭)과 한천재(寒泉齋)에서 학문을 닦고 후학을 양성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일산집(一山集)』은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찬 및 간행 경위를 살피기 어렵다. 『일산 선생 문..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이존록

이존록 [ 彛尊錄 ] 요약 조선 전기 사림파의 영수였던 김종직( 金宗直 :1431~1492)이 아버지 김숙자( 金叔滋 )의 행적에 관한 기록들을 모아 편집, 간행한 책. 구분 목활자본, 목판본, 필사본 저자 김종직(金宗直) 시대 조선시대(1497, 1528, 1709) 소장 규장각 목활자본·목판본·필사본. 규장각도서. '이준'은 원래 ‘제기에 쓰는 술그릇’이라는 뜻으로 아들이 아버지에게 바치는 책의 의미를 갖고 있다. 1497년 강백진(康伯珍)의 간행본, 1528년 박승임(朴承任)의 간행본, 1709년 예림서원(禮林書院) 간행본이 있다. 권두에 1497년에 조위(曺偉)가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 강백진의 발문이 있다. 앞부분에 와 를 기록하고, 종유(從遊) ·제의(祭儀) ·가훈 중에서 가히 본받을 만한 ..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우주두율(虞註杜律)

가천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이 책은 중국 당나라의 시성(詩聖)인 두보의 칠언율시를 중국 원(元)나라의 학자 위지(虞集)가 주(註)를 붙이고 해설한 것을 성종 1년(1470)에 당시 청주목사 권지(權至)가 청주목(淸州牧)에서 간행한 것이다. 이책의 글씨는 괴산군수 박병덕(朴秉德)이 썼고 교정은 이경방(李經邦)이 보았다. 목판본이며 불분권(不分卷) 1책이다. 닥나무종이를 사용하였으며 크기는 세로 27.2cm, 가로 16.8cm이다. 글씨는 괴산군수 박병덕(朴秉德)이 발문(跋文)은 김유(金鍮)가 썼으며, 이 중 서(序), 발문(跋文) 및 간기(刊記)가 온전히 남아 있어 서지학(書誌學) 연구에 귀중한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1994년 7월 29일 보물 1,209호로 지정되었다. [출처] 우주두율(虞註杜律)|작성자..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용재선생문집

용재선생문집 책이미지 별점 서평쓰기 도서 상세정보 서명 용재선생문집 개인저자 姜德溥 장르 e-Book 발행사항 서울 발행자 (주)미디어한국학 발행년 2012 언어 중국어,한국어 주기 -수록문집 : 1)慵齋先生文集, 姜德溥 著 2)慵齋先生文集 -간략목차 : 慵齋先生文集 慵齋先生文集序 舊序 卷一 卷二 卷三 卷四 附錄 일반주제어 역사,문화,정치 원서명 慵齋先生文集 총서명 한국역대문집총서 총서번호 제868권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우곡 선생 문집 박신윤

우곡 선생 문집 책판 [ 愚谷先生文集冊板 ] 분야 역사/전통 시대, 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사화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출처 디지털창원문화대전-우곡 선생 문집 책판 목차 정의 개설 형태 특징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사화동 운암서원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학자 박신윤의 문집 책판. 개설 우곡 선생 문집 책판은 창원 사화(沙火)에서 우거했던 우곡(愚谷) 박신윤(朴身潤)[1661~1698]이 지은 시문집의 책판이다. 자가 덕경(德卿)이고 본관이 밀성(密城)인 박신윤은 일찍부터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양친을 극진히 모셔 그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1698년(숙종 24) 38세의 젊은 나이에 돌아가자 고을 사람들이 그의 효행과 학문을 받들어 운암사(雲巖祠)에 향사하..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예기집설(30권6책)

예기집설 《예기집설》이란 원나라의 진호(陳澔)가 《예기》에 대한 당시까지의 중요한 주석을 모아 이를 정리하고 자신의 견해를 덧붙인 책으로서 『예기』에 관한 주석서로서는 가장 권위 있는 책이다. 이는 明나라의 호광(胡廣)이 《예기대전을 편찬하면서 바로 진호의 『예기집설』을 기본 텍스트로 삼았다는 데에서 알 수 있다. 《예기집설대전》이란 《예기대전》과 같은 책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예기집설대전 권11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국고서의 표지문양), 2004., 한국콘텐츠진흥원)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아희원람

아희원람 [ 兒戱原覽 ] 국적 > 시대 한국 재질 지(紙) 크기 가로 18.7 세로 26.7 용도 · 기능 사회생활 > 사회제도 > 교육(敎育) 소장처 서울교육사료관 유물번호 교육사료(교육사료) 110159-000 조선 후기의 학자 장혼(張混, 1759-1828)이 어린이 교육용으로 만든 책. 1911년 서계서포(西溪書?) 발행. 고금의 사문(事文)에서 발췌하여 공부를 처음 시작하는 아동들이 참고하기에 편리하도록 엮은 책이다. 내용은 형기(形氣:우주론)·창시(創始)·방도(邦都:한국개관)·국속(國俗)·탄육(誕育:탄생설화)·자성(姿性)·재민(才敏)·수부(壽富)·변이(變異)·전운(傳運) 등 10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부록으로 수휘(數彙)와 보유(補遺)를 곁들였고, 이 책은 조선시대 가정교육의 기본교재 중 하나이..

카테고리 없음 2020.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