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68

송담선생유사(松潭先生遺事) 정상례(鄭尙禮)

송담선생유사(松潭先生遺事) 자료명 송담선생유사(松潭先生遺事) xml 저자 정상례(鄭尙禮) 자료명(이칭) 松潭先生遺事 저자(이칭) 鄭尙禮(朝鮮) 編 청구기호 K2-767 MF번호 MF35-1894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001책 · PDF서비스 001책 장서각 전자도서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82(정조 6년) · 청구기호 K2-767 · M/F번호 MF35-1894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정상례(鄭尙禮) 편(編) 형태사항 ..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소학언해

소학언해 [ 小學諺解 ] 1587년 교정청에서 활자로 인출한 소학언해. 해당 사진은 활자로 인출된 소학언해를 목판에 번각한 판본이다. 살펴보면 한자음 등 한글 옆에 방점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규장각 소장.이미지 크게보기 유형 문헌 시대 조선 성격 언해서 제작시기 1587년 권수·책수 6권 4책 간행·발행·발급자(처) 교정청 목차 정의 개설 편찬/발간 경위 서지적 사항 내용 의의와 평가 정의 1587년(선조 20) 교정청(校正廳)에서 간행한 『소학(小學)』 언해서. 개설 중종 때에 『번역소학(飜譯小學)』이 처음 간행되었으나, 번역이 의역(意譯)되어 있어서, 선조 때에 이를 비판하고 직역(直譯)을 원칙으로 간행한 것이 『소학언해』로, 교정청(校正廳)에서 간행하였다. 현재 내사본(內賜本) 완질이 도산서원..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소학제가집주 李珥

소학제가집주 국적 > 시대 한국 > 조선(朝鮮) 재질 지(紙) 크기 가로 29.3 세로 22 용도 · 기능 문화예술 > 문헌 > 기타(其他) 소장처 목아박물관 유물번호 서(서) 000155-000 소학제가집주(小學諸家集註) 朱子가 지은 小學에 李珥가 諸說은 인용하여 주석한 책이다. 소학은 주자가 聖人 立敎의 遺意를 經史에서 뽑아 초학자를 위해 만든 것인데 주자 이후에 이에 대한 주석이구구하여 배우는 자들에게 많은 혼란이 따르자 李珥가 이것을 내용에 따라 諸家의 說을 혹은 간략하게 혹은 상세하게 註說을 달아 편찬한 것이다. 栗谷 편찬의 이 책이 조선초학자에게 널리 讀誦되었는데, 이 본은 1694년(肅宗 20) 改鑄 갑인자의 활자본으로 펴낸 것이다. 책끝에는 成渾이 쓴 小學集註跋과 李恒福이 쓴 小學跋 등의 ..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소우헌문집 이도일(李道一)의 시문집.

소우헌문집 [ 消憂軒文集 ] 유형 문헌 시대 조선 성격 시문집 편저자 이도일 제작시기 1897년 권수·책수 2권 1책 간행·발행·발급자(처) 이승영 소장처 연세대학교 도서관 목차 정의 편찬/발간 경위 서지적 사항 내용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이도일(李道一)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97년 이도일의 8대손 이승영(李承永)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종기(李種杞)의 서문, 권말에 이승영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 목활자본.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상에 시 19수, 만사 3수, 서(書) 1편, 찬(贊) 1편, 기(記) 1편, 제문 2편, 소(疏) 1편, 권하에 부록으로 가장·유사·행장·묘갈명·묘지명·기·상량문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순후하면서도 건아한 기풍이 있..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소산 문집

『소산 문집』 [ 小山文集 ] 분야 역사/근현대, 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출처 디지털창원문화대전-『소산 문집』 목차 정의 개설 편찬/발간 경위 형태 구성/내용 의의와 평가 정의 1915년에 간행된 경상남도 창원 출신 학자 김기호의 문집. 개설 김기호(金琦浩)[1822~1902]는 학문적으로 근기실학(近畿實學)의 학풍을 널리 전파한 성재(性齋) 허전(許傳)[1797~1886]의 문도로 경상우도의 성재학파(性齋學派)를 주도한 인물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기호는 40세를 전후하여 창원 지역의 선비들과 요천시사(樂川詩社)를 결성하고 소산재(小山齋)를 지어 문인들을 가르쳤다. 편찬/발간 경위 1915년 김기호의 손자 김용복(金溶馥)이 조병규(趙昺..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소미가숙점교부음통감절요(少微家塾點校附音通鑑節要)江贄 劉剡 增校.

국적 > 시대 중국 > 송(宋) 재질 지(紙) 크기 가로 28 세로 18.7 용도 · 기능 문화예술 > 문헌 > 기타(其他) 소장처 목아박물관 유물번호 서(서) 000154-000 소미가숙점교부음통감절요(少微家塾點校附音通鑑節要) 宋 徽宗 때의 학자인 江贄의 「通鑑節要」에 주석을 가하고 諸人의 평론을 增補한것이다.「資治通鑑」294권은 北宋 神宗의 元豊7년(1084)에 司馬光에 의해 이루어진 周 威烈王 23년(기원전 403)부터 오대 後周 顯德 6년(959)에 이르는 1362년간의 편년체 通史로, 司馬遷의 史記」와 함께중국의 가장 대표적인 역사서인데, 「通鑑節要」는 이것을 50권으로요약한 것이다. 저자 江贄는 崇安縣 사람으로 字는 叔圭이다. 「易」에 조예가 깊었으나 은거하여 徵召에 응하지 않았다. 徽宗 政和..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書傳大全 胡廣

무오자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성격 인쇄유물, 활자 유형 유물 제작시기 1618년(광해군 10) 분야 언론·출판/출판 요약 1618년(광해군 10) 주자도감(鑄字都監)에서 만든 동활자. 목차 접기 내용 내용 갑인자(甲寅字)를 세번째로 개주(改鑄)한 것으로, 그 해의 간지를 따서 ‘무오자’ 또는 ‘삼주갑인자(三鑄甲寅字)’라 일컫는데, 혹은 ‘광해군동자(光海君銅字)’라 부르기도 한다. 갑인자를 개주한 것 중에서는 가장 박력이 없다는 평을 받고 있으나, 특정 자를 보면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 갑인자이다. 이 동활자의 고증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구구한 설이 제기되었으나, 1623년(인조 1) 6월정온(鄭蘊)에게 내사(內賜)한 《서전대전 書傳大全》이 발견되어 그 주자(鑄字)사실이 확실하게 밝혀졌다. 《서전대전》..

카테고리 없음 2020.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