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훤차록

자라가슴 2020. 3. 24. 15:12

한훤차록

 

[ ]


한훤차록
유형 문헌
성격 유집()서
편저자 미상
권수·책수 5권 3책
소장처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목차

  1. 정의
  2. 내용

정의

서간문의 형식 및 내용에 대한 것을 유집()한 책.

내용

5권 3책. 목판본. 편자는 나타나 있지 않으며, 정리자체철활자()의 목각본과 민간인이 만든 방정리자체철활자본 등이 전래되고 있다.

권1에 중봉식()·영진류()·절하류()·집사류()·개탁류()·상서류()·피봉식()·형주류()·석사류()·대감류()·존장류()·노형류()·아문류()·모관류()·태좌류()·시안류()·배후류()·근봉류()·생례류()·기두류()·미심류()·시령류()·기후류()·만안류()·복모류()·제류()·앙념류()·소생류()·조안류()·취고류()·궤유류()·결어류()·불비류()·복유류()·감찰류()·상후류()·연월류()·성명류()·재배류()가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 답장식()·기두류()·비의류()·치중류()·근심류()·시령류()·기후류()·만안류()·복위류()·제류()·시의류()·감하류()·사사류()가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국애류()·부모상류()·조부모상류()·숙부모상류()·형제상류()·처상류()·자상류()·자부상류()·여상류()·요척류()·일가상류()·친지상류()·면례류()가 수록되어 있다.

권4에 방경류()·중시류()·대과류()·소과류()·발해류()·부거류()·낙방류()·생남류()·과혼류()·혼서류()·승탁류()·번곤류()·읍진류()·서사류()·복직류()·부임류()·부연류()·보외류()·견적류()·유환류()·파관류()·해관류()·취리류()·행역류()가 수록되어 있다.

권5에는 문병류()·과주류()·시십류()·권면류()·청취류()·유상류()·청요류()·차여류()·수한류()·겸황류()·촉탁류() 등이 수록되어 있다.

각 항목 아래에는 그에 해당되는 글귀들을 집록하였다. 권1의 <중봉식>에서는 공()·사()의 서간문에 있어 겉봉투에 쓰는 형식을 나누고, 또 <피봉식>에서는 편지를 보낼 때 속봉투의 앞면에 쓰는 형식과 뒷면에 쓰는 형식 등으로 구별하였다. 그 다음에는 내용상의 순서, 종류에 따른 어휘 사용, 끝맺는 형식까지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권3은 상을 당하는 경우에 따라 그에 적합한 글귀들을 모아 수록한 것이고, 권5는 문병할 경우, 물건을 빌려주는 경우, 장마나 가뭄 등 재해를 당하였을 때 등 여러 사항으로 나누어 적절한 문구를 수록한 것이다.

조선시대에 있어서 서간문을 작성하는 데 필요한 각종의 격식·문투·예절 등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된다. 규장각도서·장서각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네이버 지식백과] 한훤차록 [寒暄箚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