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68

동미문집 감기현

『동미문집』 [ 東湄文集 ]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시대 현대/현대 출처 디지털창원문화대전-『동미문집』 정의 1966년에 간행된 경상남도 창원 출신 학자 감기현의 문집. 편찬/발간 경위 『동미문집(東湄文集)』은 감기현(甘麒鉉)[1880~1965]의 생질(甥姪) 김종철(金鍾澈)과 족손(族孫) 감경원(甘炅源)이 감기현의 시문을 모아 1966년에 간행하였다. 형태 총 5권 2책으로 책의 크기는 가로 19.5㎝, 세로 27.5㎝이다. 전통적 고서의 실묶음을 하였다. 구성/내용 『동미문집』에는 감기현이 김만현·조병규·김상항 등 당시의 유학자들과 화답한 시와 당시의 영남 유학의 거두인 이종기 등 지인들과 주고받은 편지들이 실려 있다. 서문은 안붕언(安朋彦)이 썼고, 발문은..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東國氏族攷 노상직(盧相稷)

[ 東國氏族攷 ] 이미지 크게보기 동국씨족고 유형 문헌 시대 근대/개항기 성격 씨족고(氏族攷), 인물지 편저자 노상직 제작시기 1907년(추정) 권수·책수 6권 3책 소장처 규장각 도서 목차 정의 내용 정의 조선 말기 노상직(盧相稷)이 우리나라 역사상 저명한 인물을 성씨의 본관별로 기술한 책. 내용 6권 3책. 목판본. 간행연대는 정미(丁未)로만 밝혀져 있어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907년으로 추정된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역사상 저명한 인물을 분류하는 기준으로서 시호가 있는 경우, 사원에 향사된 경우, 학문적 저술이 많은 경우를 나누고 있으나, 두드러진 좋은 행적이 있는 경우와 나쁜 행적이 있는 경우도 포함하고 있다. 그것은 이 책을 엮은 의도를 권선징악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이러한..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동국속수잠헌보감(東國續修簪獻寶鑑)

동국속수잠헌보감(東國 續修簪獻寶鑑) 유교문헌 유석태가 단군조선부터 대한제국기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역사적 인물을 중심으로 약력과 세보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역사서. 인명록. 정의 유석태가 단군조선부터 대한제국기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역사적 인물을 중심으로 약력과 세보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역사서.인명록. 키워드 유석태 이석 유승호 윤형규 조선잠헌보감 개설 권두에 실린 범례에 책명 가운데 ‘잠헌(簪獻)’에 대한 설명이 있다. ‘잠’은 잠영(簪纓)의 뜻으로 높은 벼슬아치가 쓰는 관(冠)의 꾸미개[飾]를 말하는데, 곧 귀인이나 고관을 의미한다. ‘헌’은 문헌의 뜻으로 과거의 문물·제도를 연구하는 데 자료 또는 근거가 되는 전적(典籍)과 현자(賢者)를 가리킨다. 편찬/발간 경위 본서의 판권지에 의하면 저작발..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동국명헌록

정의 조선후기 문묘에 배향된 제위와 역대 인물을 성씨별로 모아 엮은 인명록.명현록. 키워드 동국명신록 명현록 서지사항 1책. 필사본. 편찬연대 및 편자 미상이나, 영조·정조 때의 인명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그 이후인 듯하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계명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이 책은 『동국명신록(東國名臣錄)』·『명현록(名賢錄)』 등과 함께 우리나라의 인물에 대한 정리를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하겠다. 그 내용은 필사본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고 또 잘못된 기록이 있으며, 체재는 『명현록』이 성씨별·본관별·시대별로 구성된 데 비해, 이 책은 권씨(權氏)와 신씨(申氏) 외에는 본관별로 나누지 않고 성씨별로만 기재되어 있다. 먼저 「대성전배향차제위(大成殿配享次第位)」를, 다음으로 「계성사(啓聖祠)」·「사육..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東岡先生年譜

한글서명 동강선생연보(병)행장 한자서명 東岡先生年譜(幷)行狀 편저자한글 편자미상 편저자한자 編者未詳 표지제한글 동강세보 표지제한자 東岡世譜 간행년(왕력) [仁祖年間] 간행년(서기력) 1623 - 1649 간행처 未詳 언어 漢文 유형 고도서 판사항 木板本 형태서지 3卷1冊,:四周雙邊,半郭20.9×16.1㎝,10行21字,上下二葉花紋魚尾;28.8×20.5㎝ 내용주기 被傳者:金宇顒(朝鮮) 인기 청구기호 B9I^263 소장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간략내용 MF MF16-1362 등록번호 a44013592;y01 대표서명 表紙에依함 종이재질 자료유형 한국궁중문화역사자료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東岡先生文集

김우옹(金宇顒)의 시문집. 21권 10책. 선장(線裝). 목판본(木板本). 사주쌍변(四周雙邊). 유계(有界). 10항 18자.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 판심(板心)에 판심제, 장차가 있음. 앞표지에 '共九'가 묵서됨. 첫 번째 책은 표지 2장. 내지 76장. 권수(卷首)에 허목(許穆)의 동강선생문집서(東岡先生文集序, 1657)가 수록됨. 본문에 시(詩), 사부(詞賦), 소(疏)가 수록됨. 두 번째 책은 표지 2장. 내지 57장. 본문에 소가 수록됨. 세 번째 책은 표지 2장. 내지 54장. 본문에 소, 차(劄)가 수록됨. 네 번째 책은 표지 2장. 내지 68장. 본문에 차가 수록됨. 다섯 번째 책은 표지 2장. 내지 59장. 본문에 차, 계사(啓辭), 계(啓), 헌의(獻議), 사의(私議), 교..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德菴文集 / 黃熙壽 著.

德菴文集 황희수 黃熙壽 서평쓰기 서평쓰기 자료유형 고서 서명/저자사항 德菴文集 / 黃熙壽 著. 개인저자 황희수 판사항 木活字本 발행사항 [刊寫地未詳] : [刊寫者未詳], [刊寫年未詳] 형태사항 5卷2冊 : 四周雙邊 半郭 18.3 x 15.5 cm, 有界, 10行20字, 上下內向2葉花紋魚尾 ; 28.5 x 19.8 cm 일반주기 表題: 德庵集 序題: 德菴先生文集 版心題: 德菴集 序: 歲舍乙亥(1935)復月下澣 豊山柳道昇謹序. 柔兆困敦(丙子, 1936)仲秋節 冶城宋浚弼序. 柔兆困敦(丙子, 1936)初秋節 世後生仁州張右遠謹書 跋: [黃]奭壽謹書. 丁丑(1937)二月日 女서商山周璟會謹書 내용주기 卷1, 詩. -- 卷2, 上言, 獻議, 書, 序, 記, 跋, 贊, 箴, 雜著, 祭文. -- 卷3, 祝文, 墓誌, 行狀..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대학장구대전(大學章句大全)

대학장구대전(大學章句大全) 자료명 대학장구대전(大學章句大全) xml 저자 호광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종교·풍속/유교/경전 수집분류 민간/고서 자료제공처 고문서자료관(SJ_ANC) 서지 고문서자료관 해제 원문텍스트 이미지 고문서자료관 고문서자료관 원자료바로가기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형식분류 고서-기타 · 내용분류 종교·풍속-유교-경전 · 집성목차분류 흥덕 평해황씨 이재 황윤석종가 전적-고서-경부-사서류 · 사부분류 고서-경부-사서류 · 작성시기 1870 · 비고 한국 고문서 조사정리 및 보존처리 사업 · 소장정보 원소장처: 흥덕 평해황씨 이재 황윤석종가 현소장처: 기관분류기호 · 집성번호 흥덕 평해황씨 이재 황윤석종가 전적 · 집성내대대분..

카테고리 없음 2020.03.23

대암집(大菴集)

박성(朴惺) 서지사항 항목명 박성(朴惺) 용어구분 인명사전 분야 학자, 사회운동가 유형 인물 자료문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총론] [1549년(명종4)~1606년(선조39) = 58세]. 조선 중기 선조(宣祖) 때 활동한 학자, 의병(義兵). 자는 덕응(德凝), 호는 대암(大菴)이다.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경상도 현풍(玄風) 출신이다. 감찰(監察) 박순(朴純)의 손자이고, 맏딸이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손부(孫婦)가 되었다. 한강(寒岡) 정구(鄭逑)가 그의 친구이자, 학문적 스승이었다. [선조 시대 활동] 1567년(선조1) 19세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는데, 부모가 작고하자 과거 공부를 포기하고 응시하지 않았다. 낙천(洛川) 배신(裴紳)에게 수학하였으나, 남명(南冥) 조식(曺..

카테고리 없음 2020.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