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동서원과 한강(寒岡) 정구(鄭逑)선생
*도동서원은 조선 5현의 첫머리(首賢)에 차지하는 문경공(文敬公)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선생의 도학을 계승하기 위하여, 퇴계 이황과 한강 정구 선생의 주도로 유림의 협조를 받아 세워졌다. 1607년 선조 대왕 40년에 도동서원으로 이름지은 현판을 하사받고 사액서원이 되었다. 고종2년(1865) 흥선 대원군이 서원을 정리할 때에도 한훤당을 대표하는 서원으로 문을 닫지 않는 영광을 누리게 되었다.
선생이 돌아가신 지 64년 선조 원년(1568)에 비슬산의 두 골짜기 물이 합쳐지는 당성군 유가면 쌍계리 초곡천 산기슭에 세운 쌍계서원(雙溪書院)이다. 선조 6년(1573) 임금이이 서원에 에 필요한 현판과 책을 하사하였으며 1597년 정유재란때 왜병의 방화로 불타고 말았다.
그 후 선조 38년(1605) 현재의 위치에 다시 세워 보로동서원(甫勞洞書院)이라 하였다 2년후 나라에서 공자의 도(道)가 동쪽으로 왔다는 뜻으로 도동서원(道東書院)이라 이름지어 사액하여, 마을 이름도 도동리라 고쳐 불렀다.
선생은 전라도 순천시의 옥천 서원을 비롯한 전국 6도 15개 서원에서 향사(享祀)받았지만, 선생이 성장하시고 묘소를 모시고 있는 연고지의 도동 서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서원은 일인일사(一人一社)의 원칙으로 모두 문을 닫게 되었다. 1962년에 사당과 중정당 및 토담이 보물 350호로 지정되었다. 특히, 토담의 모습이 매우 아름다우며, 전국에서 유일하게 보물로 지정되었다.
도동(道東)은 성리학의 도(道)가 처음으로 동(東)으로 건너오다((道果東矣)라는 뜻으로, 조선에서 도학이 이제 시작되었다는 자부심이 넘치고 있다. 일찍이 선생이 남명 조식 선생과 퇴계 이황 선생에게 도학의 으뜸스승(近世, 道學之宗)으로 존경받았을 만큼, 조선에 처음으로 도학의 시대를 열어 주셨다.
우리 나라의 도학은 포은(圃隱) 정몽주에서 시작하였고, 김굉필 선생은 포은의 도학을 조선에서 다시 일으켜 세웠다는 도통론(道統論)에 바탕으로 두고 있다. (신도비 참고). 우리 대구야말로 처음으로 도학이 뿌리를 내렸던 도학의 발생지(發生地)으로 말할 수 있다. 비로소 조선의 성리학은 학문보다는 인격 수양을, 지식보다는 실천을 더욱 강조하는 우리의 독창적인 학문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도동 서원은 영남 예학을 대표하는 한강(寒岡) 정구(鄭逑)선생의 주도로 건립되었다. 정구 선생(1543년-1620년)은 청주 정문(鄭門)으로, 호(號)를 한강(寒岡)으로 스스로 지어 불렀다. 선생은 중종대왕 때 성주(星州) 대가면 유촌柳村에서 태어나서, 성주향교 교수로 온 덕계 오건선생에게 동강 김우옹선생과 함께 배웠고 퇴계와 남명문하에서 학문을 익혔다. 선생은 광해군 때 사헌부 대사헌을 지냈다. 한강은 중앙관직을 되도록 멀리하시고, 주로 지방관직을 스스로 맡아서 지방학문의 육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선생은 영의정으로 추증받았고, 문목(文穆)으로 시호를 받았다. 한강은 남명 조식선생과 퇴계 이황선생 사이를 오고가면서 학문을 익혔다. 선생의 학문과 인격 수양의 자세는 퇴계를 닮았고, 더 높은 기상은 남명의 모습 그대로이다라고 알려졌다. 서원의 근처에 있는 송담서원은 대암(大庵) 박성(朴惺)선생을 모시는 서원이다. 한강은 대암과 같은 시기에 서로 친분을 나누었다. 기호 예학이 사계(沙溪) 김장생에 의해 이루어졌듯이, 영남 예학은 한강에 의해 체계가 이루어졌다.
선생의 학문은 인조 대왕 때 산림 처사로 알려진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선생과 미수 허목을 거쳐 성호 이익-순암 안정복 하려 황덕길 성재 허전/녹암 권철신-다산 정약용의 실학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강문인록(寒岡門人錄)에는 문인이 모두 342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과거 합격자는 문인 전체의 3분의 1에 달하는 110인으로, 시호(諡號)가 밝혀진 문인도 9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도동 서원은 한강과 여헌의 문인을 중심으로 하는 영남 남인계 한려학파(寒旅學派)를 형성하였고, 대구 성주를 중심으로 하는 영남 중부지역을 대표하는 서원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도동서원 입구에 은행나무 한 그루가 울창한 나무 가지를 잔뜩 드리우고 있다. 한강 정구(鄭逑)선생이 도동서원 사액을 기념(1605)하여 기념해서 심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은행나무는 도동 서원의 역사를 같이하고 있는 400년 이상 세월을 지냈다. 수령이 400년 된 이 은행나무는 높이 20m, 가슴둘레는 7.9m, 수관 폭 31m * 30m 이고, 동쪽가지는 30m, 서쪽 25m, 남쪽 28m, 중앙 22m이다. 은행나무는 하늘을 향해 뻗어 올라가는 기운이 강해서 기상 높은 선비를 기르는 최고의 상징으로, 서원이나 향교 앞에는 한 두 그루 심어져있다. 은행나무는 해마다 많은 열매를 맺듯이, 해마다 많은 선비들을 배출하려는 소망이 들어 있다. 은행나무는 지금으로부터 30년 전 울음소리를 내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며칠 지나자 북쪽으로 빧은 가지가 부러졌지만 나무 밑에 놀던 어린이들은 아무도 다치지 않았다고 한다. 자신이 부러지면서도 어린이들을 보호한 나무이지만 오랜 연륜으로 제 힘으로 스스로 이기지 못하고 굵은 콘크리트기둥(1977년에 설치)5개에 의지하고 있다.
** 서원을 들어서면 넘실거리는 푸른 강물과 강 건너 고령군 개진면의 넓은 들판이 보이는 수월루(水月樓)라는 정자가 있어 공부하던 유생들의 머리를 식혀 주었다는 물위에 비친 달빛으로 읽는 수월루(水月樓)이다. 수월루는 유생들이 엄격한 서원생활에서 슬며시 벗어나 시를 지어보거나, 경치를 즐기는 누각이다. 수월루 밑의 외삼문(外三門)으로 들어가서, 좁고 가파른 계단을 걸어올라 환주문으로 들어간다. 문 입구에 문턱이 놓여야 할 자리에 꽂봉오리를 새긴 돌을 박아 놓아서, 잠시 머물러 복장을 갖추기를 요구하는 재치도 숨어있다. 수월루는 정면 3칸, 측면2칸, 홑처마 팔작지붕의 2층 누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