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2

향약조목

📜 원문, 독음, 해석【원문】鄕約條目本官以都執綱盖都契長濨其政 置副契長一人 禮長一人 每面 置 契長 一人 色學 一人 別捡 一人 父子天性之親 孝爲百行之源 爲人子不可不知君臣之間 忠爲百行之本 爲人臣不可以不知夫婦百福之源 主者法次之間【독음】향약조목본관이 향약을 편성하여 예장(禮長)으로 삼고, 부계장(副契長) 한 사람을 두며, 색로자(色老者) 한 사람을 따로 점검하게 한다.부자지간의 친애는 천성에서 비롯된 것이니, 효는 모든 행실의 근본이 된다.사람이 자식된 자로서 알지 않음이 없어야 한다.군신 간의 의리는 충이 모든 행실의 근본이 되니,사람이 신하된 자로서 알지 않음이 없어야 한다.부부는 온갖 복의 근원이니, 주재자는 그 법을 정하여 실천케 해야 한다.🧐 해설 주석구절해설鄕約條目향약 실행을 위한 조목 규정, ..

카테고리 없음 2025.07.11

鄕約契序

『鄕約契序(향약서)』의 첫머리입니다.이는 조선시대 향촌 자치 규범인 *향약(鄕約)*을 실행하기 위한 **계문(契文)**의 서문(序文)으로, 향약의 도입 배경과 그 중요성을 설명하는 글입니다.鄕約契序향약계서(→ '향약 계약의 서문', 즉 향약을 맺기 전에 그 취지를 밝힌 글)📜 원문 정독 및 독음, 현대어 풀이 鄕約契序 我東處本曰嶠夷 風被賢化禮樂 文物自古稟於中華 遂夫我朝 聖神相繼治敎休明 正學植祀道 經浦文祥遍手亶字 邪祀之氣莫敢其間 率爲天下最春秋耳 🔊 독음 (한자음)향약계서 아동처본왈교이 풍피현화예악 문물자고품어중화 수부아조 성신상계치교휴명 정학식사도 경포문상편수단자 사사지기막감기간 솔위천하최춘추이 🧾 현대어 번역향약 계약을 맺으며 그 취지를 밝히다우리 동방(조선)은 본래 변방에 있어 오랑캐라 일컬어..

카테고리 없음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