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66

안념의 괴헌정

사림동 79-6번지에 가보면 이 땅에 600년의 생명을 이어온 신목의 뿌리와 엉켜 유구한 세월의 흔적을 간직한 선사시대의 유물인 “고인돌”이 여러 조각으로 깨어졌으나 그 위용만은 변함없이 간직하고 있다. 이 고인돌에 [퇴촌 괴헌정]이란 글귀와 광무9년 을사년(1905년) 3월에 새겼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불과 7개월 후 을사보호조약이 맺어져 민족의 비극인 조선이 망하는 안타까운 해이기도 하다. 창원의집 출신인 안희상(51세)씨에 의하면 “창원의집 뒤편 야산에 있던 것을 공단을 조성하면서 이곳에 옮겨 둔 것이라고”전한다. [槐軒亭]이란 말 그대로 회화나무가 정자의 처마처럼 그늘을 드리우고 있는 모습 그대로 이다. 회화나무는 최고의 길상목(吉祥木)으로 이 나무를 집안에 심으면 정신이 맑아지는 기운이 흘러 가..

카테고리 없음 2025.05.05

진주도통사

2022.9.22. 진주시 도통사 전경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724(내축로577번길 29-9)에는 우리나라에서 안자安子라 칭하는 회헌晦軒 안향安珦(1243~1306)을 공자孔子·주자朱子와 함께 모시는 도통사道統祠가 있다. 이곳의 해발 높이는 65m, 좌표는 35°07'58"N 128°00'56"E를 가리킨다. 도통사道統祠는 1983년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고, 처음에는 대평면 하촌리 547-2번지에 있었는데 남강댐 공사로 인하여 1995년 이곳으로 옮겼다. 공자(孔子)를 주벽(主壁)으로 주자(朱子)를 배향하고 안자(安子)를 종향(從享)하여 영정을 봉안하고, 매년 공자탄신일인 8월 27일에 제향한다. 2022.9.22. 진주시 도통사 전경 측면 안향安珦은 1290년 왕과 왕비를 호종하고 원나라에 가..

카테고리 없음 2023.05.12

이 만성 公諱晩成 字大器

餘窩先生文集卷之二十一 / 行狀[一] 李中樞行狀 b090_394c 편목색인 [DCI]ITKC_MO_1087A_0210_010_0020_2012_B090_XML DCI복사 URL복사 勝國公卿門閥之盛。無出仁川李氏之右。鼻祖邵城伯諱謙。本首露王金氏之裔。首露王十男。二從母姓爲許氏。謙其後也。仕新羅奉使朝唐。唐肅宗見而嘉之。錫國姓李氏以寵之。歸而著籍邵城。邵城今之仁川也。自是左僕射文景公翰,右僕射子祥,太尉平章 事預,侍中致仕文忠公公壽,司空文正公之氐,翰林學士世興。奕葉烜爀。名載史官。七傳而至參贊大提學恭度公諱文和。由前朝魁科。入我朝名蹟著稱。又五傳有諱邱,諱元佑,諱珙官參奉。是公考祖考曾祖三世也。公諱晩成字大器。英偉沉重。慷慨有大節。事父母孝。與朋友信。膂力又絶人。郡北有大澤。澤有蛟逞惡。乘霧雨出噉人畜。畜牧者不敢近澤傍。一郡人患之。公赤手探其窟。捕蛟而出。蛟慴不敢動..

카테고리 없음 2022.08.20

안중근 의사 어록

안중근 의사 어록 안중근 의사가 의병을 이끌 때 읊던 시 男兒有志出洋外(남아유지출양외) 사나이 뜻을 품고 나라 밖에 나왔다가 事不入謀難處身(사불입모난처신) 큰일 못 이루고 몸 두기 어려워라. 望須同胞誓流血(망수동포서류혈) 바라건대 동포들아 죽기를 맹세하고 莫作世間無義神(막작세간무의신) 세상에 의리 없는 귀신은 되지 말지어다. 안중근 의사 유묵 보물지정 569-1 백인당중 유태화(百忍堂中 有泰和) (백번 참는 집안에 태평과 화목이 있다.) 569-2 일일불독서 구중생형극(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 (하루라도 글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친다.) 569-3 년년세세화상사 세세년년인부동(年年歲歲花相似 歲歲年年人不同) ( 해마다 계절 따라 같은 꽃이 피건만 해마다 만나는 사람들은 같지 않네.) 569-4 치악..

카테고리 없음 2022.08.18

■ 안황 이만성 안신갑 정유재란

○ 안 황(安 璜) 1552~1623년, 관동별곡(關東別曲)을 지 은 고려의 대유학자 문정공 안축(文貞公 安 軸)의 9세손이며 이조개국공신 흥령부원군 (興寧府院君) 안경공(安景恭)의 7세손으로 서 기묘사화(1519년) 때 화를 피하여 함안( 咸安)으로 내려온 취우정(聚友亭) 안관(安 灌)의 손자이다. 약관에 임금이 친히 치르는 무과정시(武 195 第6章 外侵과 倭亂 科庭試)에 급제하였으며 임금이 공의 용모 가 건장하고 기상이 뛰어나 특별히 선전관 (宣傳官)에 임명하였으나 부모님이 연로함 으로 돌아가실 때까지 봉양하기를 애걸하 여 양해를 얻어 고향으로 내려와 매일밤 옷 도 벗지 않고 아버님 곁에서 병환을 시중들 었던 효자였다. 임진왜란 일어나자 안신갑(安信甲)·이 숙(李潚)과 더불어 김해로 달려가 많은 적..

카테고리 없음 2022.08.10

安庚錫百未軒記 簡札

學以爲己務實爲本若不就己分上做工夫非君子儒也故曰主忠信曰毋自欺曰 無伐善曰不願乎外此聖門所以敎人之要訣也噫近世學術分裂漫不知內外輕 重之分徒從事於口耳文字之末纔有一藝一行之可稱則驕矜而自大放曠而自 高揚揚在霄漢之上而若將震耀一世多見其不知量也可不悲哉友人安君聲建 亦甞恥之小心謙虛以百未署其軒走書索記於余余曰否否君幼而襲家庭之訓 薰漬觀感而得治心行己之要矣矧乎姿性聦穎才器過人好禮而覈於儀文敏事 而綜於庶物靡微不究靡幽不貫若使見用於世則手杖引而揮百工曲盡其制矣 其所負固如是而曰百未何也於乎媺矣子之所養我知之矣吾夫子有言曰君子 之道四丘未能一焉聖人豈其然乎乃責己而勉人也其用工節度則但曰庸德之 :: 0038 :: 行庸言之謹有所不足不敢不勉有餘不敢盡言顧行行顧言君子胡不慥慥此不 過日用言行上只做箇篤實工夫然自灑掃應對上便可到聖人事奚獨於四未而 可也推此以去則雖千百未可得而能之矣余則不敢以他說..

카테고리 없음 2022.07.28

贈安聲健 [門人安斗馨]

性齋先生文集附錄卷之四 祭文[昌原儒生盧鍾洛,曺璟煥,安斗馨,金琦浩,鄭珪燁等] a309_160b 편목색인 [DCI]ITKC_MO_0626A_0450_000_0050_2009_A309_XML DCI복사 URL복사 恭惟先生。奎斗之精。金玉其質。德器天成。準平繩直。三分之志。弟兄征邁。遊后浦門。講李子粹。惟士有儀。一生精力。惟哲惟堯。輔導誼辟。粤在閼逢。薄試嶠邑。衙懸絳帳。儒化普洽。余小子等。地邇尤慕。黌舍飮樽。虛亭講座。千里迭趨。餘二十載。博我約我。庶效無怠。泰山忽頹。後生安仰。承實後時。旣違臨壙。祥期奄迫。罪負幽明。敬薦泂酌。庶歆微誠。 性齋先生文集附錄卷之五 輓章[門人安斗馨] a309_192a 편목색인 [DCI]ITKC_MO_0626A_0460_000_0790_2009_A309_XML DCI복사 URL복사 道從羲軒始。禮至周孔備。以心傳心妙。萬古惟..

카테고리 없음 2022.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