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姓名) |
안우기(安于器) |
본관(本貫) |
순흥(順興) |
||
시대(時代) |
|
자(字) |
허중(虛中) |
호(號) |
죽옥자(竹玉子) |
이력(履歷) |
안우기(安于器) 순흥인 5世 안우기(安于器) *어조사 우, 그릇 기 할아버님 초휘(初諱)는 천(遷)이시고 자(字)가 허중(虛中)이시며 호(號)는 죽옥자(竹屋子), 그리고 시호(諡號)는 문순공(文順公)이시다. 선친(先親)이신 문성공의 위업(偉業)을 극계(克繼)하여 문아(文雅)로 현명(賢明)하셨다. 1265년 고려(高麗) 24대 원종 6년 을축생(乙丑生)이시다. 1282년 충열왕 8년 약관 18세의 홍안소년으로 문과(文科)에 등과하셨다. 그후 조정(朝廷)에 몸담아 국학제주(國學祭酒), 우부승지(右副承旨), 밀직부사(密直副使), 대사헌(大司憲), 광정대부(匡靖大夫), 검교첨의(檢校僉議), 찬성사겸판전의시사(贊成事兼判典儀寺事)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시고 순평군(順平君)에 봉군(封君)되셨다. 1329년 즉 충숙왕 16년 기사(己巳) 9월 12일 향수(享壽) 65세로 세상을 떠나셨다. 문순공(文順公)이라는 시호(諡號)를 받으셨다. 1822년 순흥 용연사(龍淵祠)에 봉향되셨다.
영주문화 > 영주의 역사인물 > 고려시대 안우기(安于器 1265 ~ 1329) 자는 허중(虛中), 호는 죽옥자(竹屋子),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문성공(文成公) 향(珦)의 아들로 어머니는 우사간(右司諫) 김녹연(金祿延)의 딸이다. -. 충렬왕 8년(1282)에 문과(文科) 급제하였다. -. 고공정랑(考功正郞), 우승지(右承旨),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 검교찬성사(檢校贊成事)(贊成事) 등을 지내다. -. 시호(諡號)는 문순(文順)이다.
順平君 文順公 (순평군 문순공 ) 五世(一派) 고려시대 元宗(원종)때인 1365년(을축년)에 문성공의 아들로 출생하셨다. 초휘는 천(遷)이고, 자(字)는 허중(虛中)이며, 호(號)는 죽옥자(竹玉子)이다. 충렬왕 임오년인 1282년에 문과 급제하여 翰林知制誥(한림지제고)와 詞林(사림), 寶文閣(보문각)의 두 待制(대제)와 國子(국자)의 祭酒(제주)를 지냈다. 1301년 제주로 있을시 崔凝(최응) 과 함께 과거를 주관했다. 1304년 우부승지,이듬해 밀직부사를 거쳐 匡靖大夫 檢校僉議 贊成事 兼 判典儀寺事(광정대부 검교첨의 찬성사 겸 판전의사사)를 역임했다. 충숙왕1년(1314년)에 지밀직으로 박사 柳衍(유연)등이 새로 구입한 經籍(경적) 10,800권을 검열하였다. 1316년 대사헌에서 파직되고 후임으로 趙珝(조후)가 임명되었다. 일찍이 合浦(지금의 마산)에 出鎭(출진)하였을때 청렴과 재간으로 칭찬이 자자했다. 公望(공망)은 있었으나 안으로 도와주는 사람이 없어서 식자들은 이를 애석하게 여겼다. 1329년 9월 12일 (고려 충숙왕 기사년)에 별세하시니 향년 65세였다. 順平君(순평군)에 봉해지고, 시호를 文順(문순)이라 하였으니, 이는 학문을 부지런히 힘쓰고 묻기를 좋아함을 文(문)이라 하며, 자애로워 두루 사람들이 복종함을 順(순)이라 했다. 1822년(순조 임오년)에 순흥의 龍淵詞(용연사)에 배향되었다. 배위는 철원군군부인 최씨氏(鐵原郡君夫人 崔)로 부친은 문하시중 沖若(충약)이고 조고는 문하평장사 징이고, 증조는 이부상서를 지낸 臣胤(신윤)이다. 후배는 郡君夫人 李氏로 판관공파 파조의 어머니이다. | ||||
묘(墓) |
선고(先考) 문성공조(文成公兆) 우측 제1록 자좌지원(子坐之原)이다. |
||||
부(父) |
안향(安珦) 晦軒 文成公(初諱: 裕) 회헌 문성공(처음의 이름: 유) 1243년 (고려 고종30년), 경북 영주시 순흥면 석교리에서 탄생하셨다. 순흥안씨(順興安氏) 시조 휘 자미(始祖 諱 子美)의 증손(四世)이다. 고려의 명신(名 宰相)이요, 학자이다. 자(字)는 사온(士蘊), 호(號)는 회헌(晦軒)이다. 公의 아버지는 중의대부 밀직부사 판도판서 諱 부(孚)이며, 수태사 문하시중으로 추증되었다. 어머니는 순정군부인(順政郡夫人) 강주우씨(剛州禹氏)이며, 예빈시동정 우성윤의 딸이다. 우리나라에 성리학을 최초로 도입했으며, 동방성리학의 조종(祖宗)으로 일컬어진다. 우리나라에서는 성현의 칭호인 子(자)라 불리는 분은 오직 회헌(문성공) 선조 한 분 밖에 없다. 1306년 9월 12일(고려 충렬왕, 병오년 갑신일)에 별세하니 향년 64세이었다. 조정에서는 시호(諡)를 문성(文成)이라 하고, 장지(葬地)를 장단의 대덕산에 내렸다. 조선 문종의 어휘(御諱)와 같은 이름(珦)이라서 유(裕)로 바꿔 부르다가 나중에 [향]으로 환원했다. 충숙왕 무오년(1318년), 문묘에 초상화를 봉안했다. (영정 : 국보제 111호) 충숙왕 기미년(1319년), 문묘에 종사(從祀)되었다. 유상(儒像)은 여러본(本)이 있는데, 순흥의 소수서원(紹修書院) 장단(長湍)의 임강서원(臨江書院) 충주(忠州)의 도통(道統) 연기(燕岐)의 합강(合江) 진주(晋州)의 도통(道統) 순흥(順興)의 대룡산(大龍山) 송도(松都)의 한천(寒泉) 철원(鐵原)의 모성(慕聖) 장흥(長興)의 만수사(萬壽祠) 재령(載寧)의 문천(文泉) 백천(白川)의 송성영당(松城影堂) 시흥(始興)의 녹동서원(鹿洞書院) 나주(羅州)의 집성(集成) 곡성(谷城)의 도동(道東) 중국 공자(孔子)의 사당 등에봉안되었다. | ||||
모(母) |
부인(夫人)은 한남군군부인 김씨(漢南郡君夫人 金氏)이시고 우사간(右司諫)을 지내신 김록연(金祿延)공의 따님이시다. 묘(墓)는 부좌(?左)로 모셨다. | ||||
모(母) |
후부인은 서원군군부인 염씨(瑞原郡君夫人 廉氏)이시고예빈경 태자보(禮賓卿 太子保)를 지내신 염수장(廉守藏) 공의 따님이시다. 묘(墓)는 실전(失傳)되었으므로 할아버님 묘 우측에 추설사단(追設祀壇)해서 모셨다. | ||||
배(配) |
부인은 철원군군부인(鐵原郡君夫人) 최씨이시고 그 선친(先親)이 당시 문하시랑(門下侍郞)을 지내신 최충약(崔沖若)공 이시다. 묘(墓)는 고조우록(考兆右麓) 임좌(壬坐)로 모셨다. | ||||
배(配) |
후부인은 이씨(李氏)이신데 생졸년(生卒年), 묘 등이 모두 실전(失傳)되었으므로 공조(公兆) 우측에 추설사단(追設祀壇)해서 모셨다. 세사는 매년 10월 1일인 바 해방후는 금촌 판서(判書) 공묘역에서 망향제(望鄕祭)로 올린다. | ||||
자(子) |
안목(安牧) 전실소생 6世 안목(安牧) *기를 목, (다스릴 목) 할아버님은 자(字)가 익지(益之)이시고 호(號)는 겸재(謙齋)이시다. 1290년 고려(高麗) 25대 충열왕 16년 경인(庚寅)생이시다. 1315년 충숙왕 2년에 문과(文科)에 등과(登科)하셨다. 등과직후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지내시고 1348년에 밀직제학(密直提學), 제조경사도감(提調經史都監)등을 역임하셨다. 1352년에는 밀직부사에 오르셔서 서연시독(書筵侍讀)의 중책까지 맡아 왕(王)을 보필(輔弼)하는데에 충성(忠誠)을 다하시고 통헌대부(通憲大夫), 정당문학(政堂文學), 진현관대제학(進賢館大提學)등 요직(要職)을 두루 역임(歷任)하신후 순흥군(順興君)으로 봉군(封君)되셨다. 만년(晩年)에는 파주(坡州) 서교(西郊)에서 상영소요(觴詠逍遙)하시고 시서(詩書)를 즐기시면서 여생(餘生)을 조용히 보내셨다. 1360년 경자(庚子) 5월 2일 향수(享壽) 72세에 세상을 떠나셨다. 문숙공(文淑公)이라는 시호(諡號)를 받으셨다. 1822년 순조(純祖) 임오(壬午)에 순흥 용연사에 봉향(奉享)하였다. 배(配)부인은 화평군부인(化平君夫人) 김씨 이시고 첨의중찬(僉議中贊) 문정공(文正公) 쾌헌(快軒) 김태현(金台鉉)공의 따님이시다. | ||||
자(子) |
안신(安愼) 후실소생 차자(次子)이신 신(愼)할아버님 댁이 분파(分派)하셨는 바 이 할아버님께서 로부판관(鹵簿判官)을 지내셨으므로 판관공파(判官公派)라고 호칭한다. | ||||
녀(女) |
| ||||
형제(兄弟) |
| ||||
문헌(文獻) |
1. [등과인명(登科人名)] ▲고려조 문과(文科) 안우기(安于器) (충렬왕조)
2. 역대 주요 인물 ▲고려조 안우기(安于器) (순평군(順平君) · 시(諡): 문순(文順) ·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3. 안우기(安于器) 본관 순흥(順興) 문화유적 > 서원 용연서원(龍淵書院) 소 재 지 영풍군 안정면 용산동 대룡산(大龍山) 창건년대 11824년(純祖 24) 창건자 사림(士林) 봉안위 태사(太師) 안부(安孚) 문순공(文純公) 안우기(安于器) 문숙공(文淑公) 안목(安牧) 문혜공(文惠公) 안원숭(安元崇) 경질공(景質公) 안원(安瑗) 판서(判書) 안종약(安從約) 군수(郡 守) 안리(安理)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