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竹溪安公憙文集跋(안희)

자라가슴 2015. 2. 27. 18:20

端磎先生文集
  端磎先生文集卷之十
 

竹溪公憙文集跋

 



士生天地間名流乎當時風振乎百代豈徒然哉蓋亦有本焉學問 根基以爲主於內事業英華

 

以發見於外易曰美在其中而暢於四 支發於事業美之至也余閱竹溪子遺稿詩文諸作渢渢

 

乎其大雅 之遺音公實斯文先正文成公之十一代孫也幼聰警不群旣長 

 


:: 0154 ::

 

 
從時之聞人遊雖爲親肄擧業而知學有內外輕重之分以窮理復 性爲主造詣旣深見識益廣

 

負當世重名二十七司馬三十五別試 文科壬辰東方大擾倡起義兵於金海遏截賊昌原往來

 

路大小凡 百餘戰輒破走之旣而丁外憂雖在干戈擾攘之中以禮克襄大事 翌年春收燼餘

 

四百人赴晋陽晋陽陷三子俱死遵父遺命入興州 白雲洞中以避亂訪先世遺蹟與旁近賢士

 

大夫相從其感憤憂愁 壹鬱不平之氣一於詩文發之亂定歷典州邑六十三以大丘都護 府

 

使在官卒此公之平生履歷大槪也嗚呼公抱負經濟早歲蜚英 處家則以修身學問爲急當亂

 

則以忘身殉國爲志居官則以克己 濟物爲務落落不屈節求合於當路以故沈於下僚而止然

 

其臨大

 

 
:: 0155 :: 

 


節而不可奪可以寄百里之命則斷然矣士林初尸祝公于順興之 龍淵祠後奉于巴山之杜陵

 

 

院亦可見公議之愈久不泯也然則事 業之於人爲大詩文特末耳或者以事業爲粗迹余特悉

 

 

著于篇云 

[간략정보]

 

  • 한자
  •  
  • 분야

 

  • 유형

 

  • 시대

 

  • 성격
  •  
  • 출신지
  •  

 

  • 성별

 

  • 생년
  •  
  • 몰년

 

  • 본관

 

  • 저서(작품)

 

  • 대표관직(경력)

 

  • 집필자
 
 
[정의]

 

 

1551(명종 6)∼1613(광해 5).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
[내용]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언우(彦優). 호는 죽계(竹溪). 아버지는 형조참의 공진(公

 

 

 

 

軫)
이며, 어머니는 광주안씨(廣州安氏)로 택(宅)의 딸이다.

 

 

어린 시절 할아버지에게서 수학하여 1585년(선조 1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

 

 

문원정자·성균관전적을 역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김해에서 의병을

 

 

일으켜 곳곳에서 상당한 전과를 올렸다.

 

 

그 뒤 형조정랑·어모장군(禦侮將軍)·장단부사·단양군수 등을 역임하였는데, 선정을

 

 

베풀어 왕으로부터 『대학』과 숙마(熟馬)를 하사받았고 군민들이 거사비(去思碑)

 

 

를 세우기도 하였다. 언제나 충효(忠孝) 2자를 내세워 모든 사물에 결부시키는 실천

 

 

 

 

위주의 학문을 하였다

 

 

.
1824년(순조 24)과 1832년에는 지방사림에 의하여 순흥의 용연사(龍淵祠)와 함안

 

 

두릉사(杜陵祠)에 각각 봉향되었다. 저서로는 『죽계집』 4권이 있다.
 
[참고문헌]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  
  • 『선조실록(宣祖實錄)』

 

  • 『죽계집(竹溪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