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가 "최윤덕 표준영정 제작과 동상 건은 별개"라는 태도를 보이자 '창원 문화와 역사 바로 세우기 위한 시민모임'이 반발하고 있다.

창원 문화와 역사 바로 세우기 위한 시민모임 팽현배 사무국장은 "표준영정 제작은 공신력을 얻는 동시에 동상 등을 제작하기 위한 절차이자 수단인데, 어떻게 별개일 수 있느냐"며 "창원시 입장에 화가 난다. 표준영정만으로는 아무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예산 8억 원 정도를 들여 창원시가 지난 2010년 시청 옆에 세운 최윤덕 동상은 표준영정을 제작하지 않고 만들어져 졸속 논란이 일었다. 창원시가 뒤늦게 표준영정 제작에 나섰지만, 동상을 고치는 일과는 무관하다고 밝혀 반발이 생긴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 훈령으로 영정·동상 심의 규정이 있다. 이에 따라 지자체 신청을 받아 심의위원회를 꾸리고, 심의위원은 영정이나 동상 고증작업을 벌인다. 하지만 동상 제작에 앞서 창원시는 이 절차를 밟지 않았다. 의무 사항이 아니라 자체 심의만 했다. 논란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시민모임을 중심으로 창원시 자체 심의를 신뢰하지 않기 때문이다.

동상을 만들기 이전에 정부 심의 과정을 거쳤으면, 이 같은 논란을 불러오지 않을 수 있었다. 참고로 영정은 표준이 있지만, 동상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기에 표준이 없다.

  
 창원시청 옆 중앙로에 위치한 최윤덕 장군 동상. /경남도민일보 DB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민족문화과 관계자는 "동상을 심의하면, 심의위원이 보완점을 지적한다. 인물의 복장 등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는데, 표준영정이 없어도 표준영정을 심의하는 위원이 함께 보기 때문에 별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표준영정 없이 동상 심의를 할 수 있는데, 표준영정이 있으면 동상 심의 과정이 더 수월하다"고 덧붙였다.

창원시는 지금에 와서 정부 심의 신청을 할 수 없고 표준영정만큼은 제작하겠다는 입장이다. 시 문화관광과 관계자는 "통천 최씨 문중에서 20년 동안 사용하고 유일하게 남아 있던 영정을 일종의 표준으로 삼았던 것"이라며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 9명이 동상에 대해 9차례 고증을 거쳤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 심의는 사전 심의 제도인데, 동상을 만들어놓고 사후에 심의하는 것은 무리"라면서 "진해 중원로터리 이순신 동상도 1952년 건립됐는데, 이후 1973년 표준영정이 만들어졌음에도 고치지 않고 해마다 창원시 행사를 열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