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68

안희(安熹 1551~1613) 조선 중기/문신

안희(安熹 1551~1613) 조선 중기/문신 함안의 모곡리에서 증(贈) 형조참의(刑曹參議) 안공진(安公軫)과 광주 안씨(廣州安氏) 택(宅)의 딸 사 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순흥(順興)이며 자는 언우(彦優)이다. 1585년(선조 18) 문과 병과에 급제하여 정 자 승훈랑 성균관 전적 등의 벼슬을 지냈다. 1588년(선조 21) 김해에 신산서원(新山書院)을 건립하고 남 명 선생과 송계(松溪) 신계성(申季誠)을 봉안하고자 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김해 금이산(金伊山)에 들어가 격문으로 동지들을 달래, 흩어지 고 달아난 사람들을 불러 모집하니 잠깐 사이에 1,000여 인이 모였다고 한다. 적의 길을 차단하여 끊고 크고 작은 전투로 물리치는 등 김해에서 창의하여 창원으로의 적로를 차..

카테고리 없음 2020.05.14

안신갑(安信甲 1564~1597) 조선전기/의병장

안신갑(安信甲 1564~1597) 조선전기/의병장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호는 장암(壯菴)이며, 함안군 산인면 모곡(茅谷)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순흥(順 興)이며, 문성공(文成公) 안향(安珦)의 후손이다. 부친은 1592년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맞서 싸우다가 입 석강(立石江)[현 김해 부산의 경계] 부근에서 순절한 모헌(茅軒) 안민(安慜)이다. 뛰어난 의용(義勇)으로 천거되어 선전관(宣傳官)을 지내고, 지방으로 나아가 초계군수(草溪郡守)에 이 344 제2편 인물 르렀다. 1592년 왜란 중 부친이 순절하자 그 원수를 갚고 나라의 치욕을 씻고자 하여, 외삼촌 최강(崔堈)· 최균(崔均), 이종 이달(李達), 숙부 죽계(竹溪) 안희(安憙)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창원·고성·함안·사천 등 지에서 별장(別將)으로 ..

카테고리 없음 2020.05.14

안승달

小訥先生文集 小訥先生文集卷之四十五 行狀 嘉善大夫行全羅南道巡察使石荷安公行 狀 公諱鍾悳初諱彦澤字兌老號石荷安氏廣州人系 出高麗大將軍諱邦傑之後中郞將諱國柱麗亡守 罔僕節生諱岡生員我太宗徵察訪不就三傳而 有諱覯司諫號苔巒佔畢齋金先生門人又三傳而 :: 0008 :: 有諱餘慶生員號玉川享冠山別祠諱璹正郞號樂 園受業于寒岡先生諱翔漢宣敎郞號東巒丙子倡 義是爲公十世九世八世祖也東巒之曾孫曰信亨 生五子第二諱景晉第三諱景愚諱景晉生諱珩重 是爲公曾王考也祖諱孝庠禰諱貞遠妣交河盧氏 光健女檜山黃氏泳女諱景愚生諱瑩重是爲公本 生曾王考也祖諱孝準考諱聞遠號溪广有志行妣 眞城李氏師淳女退溪先生後驪興閔氏良魯女友 于亭九淵後也憲廟辛丑十月九日公生于府東 金谷僑第閔氏出也六歲能集字爲詩七歲犯痘臥 :: 0009 :: 聞伯氏誦賈誼疏證之曰某字漏某句闕家貧無以 習寫見片紙輒書未幾頗得妙十餘歲詞藻敷發人 ..

카테고리 없음 2020.04.15

退隱安公碑閣記이근옥흘와집 퇴은안두철 소헌안정석

안공 두철 선생 시혜보사불망비 약전(安公 斗喆 先生 施惠補社不望碑 略傳) 조선조 고종 5년(1868)에, 백성들의 생활을 향상시키고자 국령(國令)으로 사창(社倉) 제도를 실시하였다. 그때 창원(昌原)지역은 연이은 흉년으로 황무지화하여, 민중의 고통이 극심한지라 그 구제책으로 사창을 설치하였다. 출납 임직에 지정된 퇴은(退隱) 안두철(安斗喆)공은 사재로 거액을 출연하여 6년간 대납(貸納)하고, 도탄에 직면한 면민들을 위해 세금을 대납하고 구휼에 대비하였으며, 이러한 활동의 여유 자금으로 상남(上南)초등학교의 전신인 숭광학사(崇廣學舍)를 용지동(龍池洞)에 설립하였다. 이 학사에서 신학문과 함께 효제충신(孝悌忠信)의 도리를 교육하였으니, 선조이신 문성공(文成公) 회헌(晦軒) 안향(安珦) 선생의 정신을 후대에 ..

카테고리 없음 2020.03.25

晦軒先生實紀

기본정보 분 류 : 사부 자료명 : 회헌선생실기(晦軒先生實記) 작성주체 : 안극권(安克權) 편(編) 작성시기 : 1884 / 고종 21년 형태사항 : 크기: 29.8×19.3cm / 판본: 목활자본(木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4권(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3×15.0cm / 인장정보: 趙忠熙印, 己亥文科, 李王家圖書之章, 信夫, 水梧 청구기호 : K2-875 M/F번호 : MF35-1082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상세정보 정의 고려 말 성리학자인 安珦(1243~1306)과 관련된 사적을 모아 1884년(고종 21)에 三刊한 책이다. 서지사항 木活字인 지겟다리획 印書體字로 간행된 판본이다. 表紙書名과 書根題는 ‘晦軒實記’, 版心題는 ‘晦軒先生實記’이다. 표..

카테고리 없음 2020.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