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안공 두철 선생 시혜보사불망비 약전(安公 斗喆 先生 施惠補社不望碑 略傳)

자라가슴 2013. 7. 24. 00:07

안공 두철 선생 시혜보사불망비 약전(安公 斗喆 先生 施惠補社不望碑 略傳)

조선조 고종 5(1868), 백성들의 생활을 향상시키고자 국령(國令)으로 사창(社倉) 제도를 실시하였다. 그때 창원(昌原)지역은 연이은 흉년으로 황무지화하여, 민중의 고통이 극심한지라 그 구제책으로 사창을 설치하였다. 출납 임직에 지정된 퇴은(退隱) 안두철(安斗喆)공은 사재로 거액을 출연하여 6년간 대납(貸納)하고, 도탄에 직면한 면민들을 위해 세금을 대납하고 구휼에 대비하였으며, 이러한 활동의 여유 자금으로 상남(上南)초등학교의 전신인 숭광학사(崇廣學舍)를 용지동(龍池洞)에 설립하였다. 이 학사에서 신학문과 함께 효제충신(孝悌忠信)의 도리를 교육하였으니, 선조이신 문성공(文成公) 회헌(晦軒) 안향(安珦) 선생의 정신을 후대에 계승한 것이다.

1876년에 퇴은공이 졸하고 이어서 사창제도가 폐지되었으나, 면민들이 공의 구휼 정신을 추모하여 연명으로 송덕비 건립을 추진하였다. 당시 숭록대부 육군부장 신기선(申箕善)이 문상을 하고 비각기문을(碑閣記文) 찬하였다. 한편 진사 흘와(吃窩) 이근옥(李根玉)이 실기(實記)를 엮고, 부윤 한창수(韓昌洙)가 서문을 썼으며, 일산(一山) 조병규(趙昺奎)가 묘갈명(墓碣銘)을 썼다.

후에 공의 장자 소헌(嘯軒) 정석(貞錫)공이 부친의 유지를 받들어 전답 수백 무를 헌공하고 흥학에 힘써 신문물을 가르치면서 동시에 유교의 도의를 숭상하였다.

처음에 송덕비를 창원의 중심지인 용지마을 숭광학교 터에 건립하였으나, 일제의 국토 강점으로 그 땅에 통신대가 들어서자, 공의 현손인 승달(承達)공이 유화정(柳花亭)으로 이건하였다. 다시 창원시의 도시계획으로 내손(來孫) 택영(宅英)공이 안산대곡(案山大谷)으로 옮겨 보존해 오다가, 곤손(昆孫) 희상(熙常)이 창원시의 협조를 받아 이곳 창원의집 경내로 이건하였다.

 

2013년 계사(癸巳) 7월  


퇴은병서.hwp

退隱安公施惠碑銘 幷序

嘗聞分人以財謂之惠敎人以善謂之德若退隱安公父子庶幾基人乎公諱斗喆字正秀順興人高麗神虎衛上護軍諱子美爲上祖三傳文成公晦軒先生諱裕忠烈王己丑從王如元手錄朱子書摹孔朱眞以歸倡道興學蔚爲東方道學之祖繼而文順公順平君諱于器文淑公順興君諱牧文惠公順城君諱元宗刑曹典書諱瑗麗社室守罔僕節謚景質公海州牧使諱從約遵親志乘官自靖贈吏曹判書俱載杜問洞遣史諱琇軍資監直長諱昌恭秉節校尉己卯遯于咸安茅谷諱王祐副司直贈吏曹參判諱公軫將仕郞贈刑曹參議諱慜司憲府監察壬亂殉節於金海諱明甲護軍自茅谷始居退村諱受瓛號敬軒文筆名世諱世厚諱恂間公五世高祖聖輈曾祖重玹壽僉知中樞府事祖必復號鶴皐考諱守儀號槿菴世以文行聞妣龍城宋氏尙奎女純祖己巳公生器宇寬洪志氣豪莢八歲受學文藝夙就十九赴鄕解不中歎世道日降無意芬華喜讀朱子書以寓晦祖慕晦菴之義也養親以孝奉祭以誠齊家有度睦婣任恤咸得歡心高宗己巳被薦君南面社倉首任擧鄕人約曰社倉之設國家之愛民隆典也敢不軆念遂捐俸存本殖利於各坊補課稅蠲徭役備不虞而畜基贏餘立學舍敎子第勸德業規過失如藍田鄕約約成未幾社倉廢公赤歿焉胤子貞錫字應五號嘯軒通仕郞痛父志之未就仍舊貫添以私財爲一面倡士民翕然從之不數年得遂先公之所志鄕人齋聲曰如是慈善茂績豈可使湮泯而無傳乎乃立石頌德以示來後卽光武 年 月 日夜苟非至仁厚德之感人湥者烏能有是哉玄孫宅榮捕實紀訪鎭海㝢莊曰我五代祖退隱處士府君施惠碑始立於龍池村前中移於柳花亭今又人編入於昌原市壙張地惑不得不移建於里近而舊有碑閣記無碑銘竊意代以烏石特品而改竪願族大父銘以賁之乃按議政府贊政申公其善記曰爲士而功利施於一鄕非賢而有才者不能也吃窩李公根玉曰社任擇其淸廉厚德者知府韓公昌洙曰當而賙人窮義也子而述父志孝也此可以百世也復何贅爲銘曰父兮施惠漿學子兮繼志述事功德被於全鄕茀錄流於後嗣今無異陶朱公餉何讓王義季幸玆秉彝罔墮人親不飮高義

 

퇴은병서.hwp
0.0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