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흥안씨 직장공파 직계행적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1 세(世)
안자미 安子美(안자미)
다른 족보(族譜)에서는 公을 이르기를 석(石)이라 한다(他譜稱公石)
고려(高麗) 신종조(神宗朝)때 흥위위보승별장(興威衛保勝別將)의 벼슬을 지내고 신호위상호군(神虎衛上護軍)에 추봉(追封)되다
配 氏실전(失傳)
墓순흥(順興) 소백산(小白山)아래라 하나 아무 표시가 없어 찾을수가 없다(無表未尋) 후손(後孫)인 순원군(順原君) 응창(應昌)이 의성(義城)고을의 원(元)으로 있을때 단소(壇所)를 쌓고 순흥(順興) 평리촌(坪里村)에 유지비(遺址碑)를 세우고 제사(祭祀)지낼 위토(位土)를 마련하니 매해 10월1일에 제사를 받들고 응창(應昌)이 지은 단소기문(壇所記文)이 총록(總錄)에 들어있다(後孫順原君應昌宰義城築祀壇於順興坪里村遺址置祭田每十月朔日報祀應昌撰壇記見總錄) 1962년壬寅에 대종(大宗)에서 종인(宗人)들의 결의(決議)로 향려(鄕閭) 산파(山坡) 태산(台山) 오산(梧山)에 4개의 단소비(壇所碑)를 세우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2 세(世)
영유 子 永儒(영유)
한보(韓譜)에는 유(儒)자가 유(濡)로 되어있다
송나라 영종(寧宗) 가태(嘉泰) 고려(高麗) 신종(神宗)辛酉1201년生이고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상호군(上護軍)에 추봉(追封)되다
配 氏실전(失傳)
墓순흥(順興) 도강리(道講里) 지장산(智藏山) 신좌(辛坐)이며 후손(後孫) 판결사(判決事)인 상(瑺)이 영천(榮川)으로 부임하여 영모암(永慕庵)을 세우고 제전(祭田)을 마련하였으며 매년 10월2일에 묘제사(墓祭祀)를 올린다 후손(後孫) 판서(判書)인 위(瑋)가 묘갈명(墓碣銘)을 짓고 응창(應昌)이 묘지문(墓誌文)을 지었는데 이것이 총록(總錄)에 들어있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3 세(世)
부 子 孚(부)
송나라 영종(寧宗) 가정(嘉定) 고려(高麗) 고종(高宗)庚辰1220년生이고 고종(高宗) 갑진(甲辰)년에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여 정의대부(正義大夫) 밀직부사(密直副使)의 벼슬을 지내고 판도판서(版圖判書)로 치사(致仕)하였으며 태사문하시중(太師門下侍中)에 추봉(追封)되고 순조(純祖)壬午1822년에 순흥(順興) 용연사(龍淵祠)에 배향(配享)되었다
配순정군부인강주우씨(順政郡夫人剛州禹氏) 父는 예빈시(禮賓寺) 동정(同正)을 지낸 성윤(成允)이고 祖는 효손(孝孫)이며 曾祖는 생원(生員)인 전(傳)이다
墓순흥(順興)이라 하나 표시가 없어 찾지못하다(無表未尋)매년 10월1일(朔日)에 호군공(護軍公) 단소(壇所)에 배향(配享)하여 제사(祭祀)지냈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4 세(世)
향 子 珦(향)
初諱는 유(裕)
이조(李朝)때 문종(文宗)의 이름과 같아서 사용할 수가 없어 처음의 諱자로 부르게 되었는데 이제 바로잡아 쓰다(御諱復用初諱茲以正之或云)
字는 사온(士蘊)
송나라 이종(理宗) 순우(淳祐) 고려(高麗) 고종(高宗)癸卯1243년生이고 고려(高麗) 원종(元宗) 경신(庚申)년에 문과급제(文科及第)하여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도첨의(都僉議) 중찬(中贊)의 벼슬을 지내고 수문전(修文殿) 태학사(太學士)로 치사(致仕)하다 일찌기 도학(道學)에 앞장서서 이끄는 책임을 맡아 공자(孔子)의 학문(學問)을 배우고 주자(朱子)의 학문(學問)을 선도(先導)하였다 주자의 호(號)를 따라 호를 회헌(晦軒)으로 쓰고 강학(講學)하면서 성현(聖賢) 선사(先師) 70인의 화상(畵像)을 그려서 제기(祭器)와 악기(樂器)와 육경(六經) 제자사(諸子史)를 구해오게 하여 납전(納田)과 주택(住宅)을 마련하여 그곳에 안치(安置)하고 또한 장학기금(奬學基金)을 만들다(甞以倡明道學爲己任曰欲學仲尼當先學晦庵因號晦軒講畵先聖先師及七十子像並祭器樂器六經諸子史納田宅藏獲置瞻學錢) 충렬왕(忠烈王) 병오(丙午)년9월12일에 卒하니 享年64세이다 시호(諡號)는 문성공(文成公)이니 도덕이 높고 견문(見聞)이 넓은 것을「文」이라 하고 백성을 평안케 하고 정사(政事)를 세우는 것을「成」이라 한다(道德博門曰文安民立政曰成) 충숙왕(忠肅王) 무오(戊午)년에 화상(畵像)을 그리도록 명(命)하여 문묘(文廟)에 치제(致祭)하고 기미(己未)년에 문묘(文廟)에 배향(配享)하다(命圖形文廟致祭桑鄕己未從祀文廟)
○화상(畵像)의 진본(眞本)은 소수서원(紹修書院)에 봉안(奉安)하고 장단(長湍) 임강서원(臨江書院) 시흥(始興) 녹동서원(鹿洞書院) 송도 한천(松都寒泉) 연기 합강(燕岐合江) 재령 문천(載寧文泉) 곡성 도동(谷城道東) 진주 도통(晋州道統) 철원 모성(鐵原慕聖) 나주 집성(羅州集成) 충주 도통(忠州道統) 장흥 만수사(長興萬壽祠) 순흥 대룡산(順興大龍山) 춘천 월곡(春川月谷) 배천 송성(白川松城)의 영당(影堂)에 영정(影幀)이 있다(遺眞有屢本奉安于順興紹修長湍臨江始興鹿洞書院松都寒泉燕岐合江載寧文泉谷城道東晋州道統鐵原慕聖羅州集成忠州道統長興萬壽祠順興大龍山春川月谷白川松城影堂)
墓장단부(長湍府) 북쪽 송림현(松林縣) 동쪽 5리 대덕산(大德山) 구정리(口井里) 자좌(子坐)이다
配한남군군부인김씨(漢南郡君夫人金氏) 父는 우사간(右司諫)을 지낸 녹연(祿延)이다
墓부좌(祔左)로 쌍영(雙塋)이다
后配서원군군부인염씨(瑞原郡君夫人廉氏) 父는 예빈경(禮賓卿)과 태자보(太子保)를 지낸 수장(守藏)이고 祖는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낸 극모(克髦)이며 曾祖는 국자좨주(國子祭酒)이고 태사(太師)인 시호(諡號) 효문공(孝文公) 신약(信若)이고 外祖는 지삼사(知三司)를 지낸 의령심문준(宜寧沈文濬)이며 무육(无育)이다
墓또한 장단(長湍)이라 하나 표시가 없어 찾을 수 없어 공(公)의 오른쪽에 설단(設壇)하다(云而無表未尋進設祀壇于公兆右)
○고려(高麗) 충렬왕(忠烈王)이 하사한 장지(葬地)에 산소를 쓰고 이조(李朝) 성종(成宗)때에 묘소(墓所)가 있는 산기슭에 묘전(墓田)을 마련하도록 명(命)하고 산소를 보호하는 총군(塚軍) 30명을 배치하고 신하(臣下)를 보내 치제(致祭)하고 제사(祭祀)에 필요한 곡식을 내리어 성대하게 치르다 매년 10월초하루에 시제(時祭)를 행한다(前朝忠烈王賜葬地環封墓山李朝成宗朝封墓山麓爲墓田命置守塚軍三十名官致性宰粢盛每十月朔日行歲祀) 동회거사(東淮居士) 신익성(申翊聖)이 언행록(言行錄)을 짓고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이 진상찬(眞像贊)을 지었으며 후손 응창(應昌)이 묘지명(墓誌銘)을 짓고 약재(約齋) 송병화(宋炳華)가 묘갈명(墓碣銘)을 지었으며 동명(東溟) 김세렴(金世濂)과 공자(孔子) 76대손(代孫) 세습(世襲) 연성공(衍聖公) 공영이(孔令貽)가 신도비명(神道碑銘)을 지었다 후손 극권(克權)이 실기(實記)를 편찬(編纂)하고 재묵(在默)이 연보(年譜)를 편찬하고 도통사(道統祠)에서 사림(士林)이 증보(增譜) 별본(別本)을 편찬(編纂)하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5 세(世)
우기 子 于器(우기)
初諱는 천(遷)
字는 허중(虛中)
號는 죽옥자(竹屋子)
송나라 도종(度宗) 함순(咸淳) 고려(高麗) 원종(元宗)乙丑1265년生이고 고려(高麗) 충열왕(忠烈王) 임오(壬午)년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의 이력은 한림지제고(翰林知制誥) 사림빈문이대제(詞林賓文二待制) 국학좨주(國學祭酒)에서 전보(轉補)되어 밀직대헌(密直大憲) 민부총부(民部摠部) 이전서(二典書) 광정대부(匡靖大夫) 검교첨의(檢校僉議) 찬성사(贊成事) 兼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를 지내고 순평군(順平君)에 봉군(封君)되다 충숙왕(忠肅王) 기사(己巳)년9월12일에 卒하니 享年65세이다 시호(諡號)는 문순공(文順公)이니 학문을 부지런히 하고 묻기를 좋아하는 것을「文」이라 하고 자비롭고 온화하며 두루 복종시키는 것을「順」이라 한다(勤學好問曰文慈和備服曰順)
墓문성공(文成公) 묘소 오른쪽 두번째 기슭 자좌(子坐)이고 순조(純祖)壬午1822년에 순흥(順興) 용연사(龍淵祠)에 배향(配享)되다
配철원군군부인최씨(鐵原郡君夫人崔氏) 父는 교서랑(校書郞)을 지낸 충약(冲若)이고 祖는 추밀부사(樞密副使)를 지낸 징(澄)이며 曾祖는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낸 신윤(臣胤)이고 生1男이다
墓문성공(文成公)묘소 오른쪽 첫번째 기슭 임좌(壬坐)이다
后配군부인이씨(郡君夫人李氏) 生1男이다
墓표시가 없어 알수 없어서 공의 묘소 오른쪽에 설단(設壇)하여 제사를 지내고 제사일은 공(公)과 같다(無表未尋追設祀壇于公兆右歲祀上同)
○졸옹(拙翁) 최해(崔瀣)가 지은 진상찬(眞像贊)에 이르길「 의관(衣冠)이 반듯하고 엄숙(嚴肅)하며 모습이 단정(端正)하고 위엄(威嚴)이 있으며 몸에 법도(法度)가 있어 평안하고 검소하며 화려함이 없다 일에 대처할 때에는 근면(勤勉)하고 곤궁함이 없었다(衣冠整肅狀貌端嚴律身寧儉而無華臨事有勤而不迫云)」 족질(族姪)인 문정공(文貞公) 축(軸)이 묘지명(墓志銘)을 짓고 진성이중곤(眞城李中錕)이 묘갈명(墓碣銘)을 짓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6 세(世)
목 6세
▶子 牧(목)
字는 익지(益之)
號는 겸재(謙齋)
충렬왕(忠烈王)庚寅1290년에 출생하다 충숙왕(忠肅王)乙卯1315년에 문과급제하고 충숙왕(忠肅王)己卯1339년에 벼슬이 장령을 거쳐 전주(銓注)를 관장함으로써 공신(功臣)에 녹훈되다 충목왕(忠穆王)戊子1348년에 밀직사(密直司)의 제학(提學)과 경사도감(經史圖鑑) 제조(提調)를 역임하고 공민왕(恭愍王)壬辰1352년에 밀직부사(密直副使)를 거쳐 서연시독관(書筵侍讀官)이 되고 여러 벼슬을 거쳐 통헌대부정당문학진현관대제학(通憲大夫政堂文學進賢館大提學)에 이르며 순흥군(順興君)에 봉해졌다 말년에 파주(坡州)의 서쪽 교외에 터를 잡아 은퇴하여 시(詩)와 술로 소요하다가 1360년庚子5월2일에 별세하니 시호를 문숙(文淑)이라한바 학문을 부지런히 힘쓰고 묻기를 좋아함(勤學好問)을 문(文)이라 하고 도덕이 순일함(道德純一)을 숙(淑)이라 한다 순조(純祖)壬午1822년에 순흥의 용연사(龍淵祠)에 제향되다
配화평군부인김씨(和平郡夫人金氏) 父는 첨의중찬(僉議中賛) 문정공(文正公) 쾌헌(快軒) 태현(台鉉)이며 祖는 감찰어사(監察御史)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추봉된 수(須)이고 曾祖는 대장군(大將軍) 경량(鏡亮)이며 外祖는 문하시랑(門下侍郞) 왕우단(王于旦)이다
墓문순공의 묘소 아래 자좌(子坐)이다 배위의 묘소는 같은 언덕이나 무덤이 다르다 세사일자는 위와 같다 익재이제현(益齋李齊賢)이 진상찬(眞像賛)을 찬하고 후손 응창(應昌)이 묘지(墓誌)를 찬하며 송사기우만(松沙奇宇萬)이 묘갈(墓碣)을 찬하바 총록에 실리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7 세(世)
원숭 子 元崇(원숭)
初諱는 정(靖)이며 고려조 방목에는 숭(崇)이요 한편 림(琳)이라 하다
고려 충선왕(忠宣王)己酉1309년에 출생하다 충혜왕(忠惠王)辛巳1341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누차의 대언(代言)을 거쳐 판서(判書)로 있다가 전주(全州)로 출진(出鎭)하다 벼슬이 광정대부(匡靖大夫) 정당문학(政堂文學)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에 이르다 순성군(順城君)에 봉하고 시호는 문혜(文惠)라 하니 학문에 부지런히 힘쓰고 묻기를 좋아함(勤學好問)을 문(文)이라하고 온유하고 백성을 사랑함(柔質慈民)을 혜(惠)라 한다 순조(純祖)壬午1822년에 순흥 용연사(龍淵祠)에 배향되다
配진한국대부인원주원씨(辰韓國大夫人原州元氏) 父는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낸 선지(善之)이며 祖는 동지밀직사(同知密直事)를 지낸 경(卿)이고 曾祖는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문순공(文純公) 부(傅)이며 外祖는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낸 문신공(文愼公) 언양김변(彦陽金賆)이다
墓문성공묘 소아래 자좌(子坐) 쌍분(雙墳)이다 후손 응창(應昌)이 묘지를 찬하고 참판(叅判) 김학수(金鶴洙)가 묘갈을 찬한바 총록에 실리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8 세(世)
원 子 瑗(원)
號는 서암(瑞巖)
고려(高麗) 충숙왕(忠肅王)壬申1332년에 출생하다 공민왕(恭愍王)癸巳1353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원(翰林院)에 보임되고 여러 벼슬을 거쳐 봉익대부(奉翊大夫) 형조전서(刑曹典書)에 이르다 공양왕(恭讓王)庚午1390년에 한양(漢陽)으로 천도하려는 계획을 잔하여 중지시켰으며 1392년壬申에 포은정몽주(圃隱鄭夢周)의 도당(徒黨)이라 하여 외지로 유배되다 조선조에 들어와 여러번 벼슬을 제수하였으나 부임하지 안했으며 한양으로 천도하게 되자 억지로 공에게 개성유후(開城留後)를 제수하고 또 형조판서를 제수하였으나 모두 취임하지 않고 서원(瑞原)의 별장에서 거쳐하다가 별세하다 시호를 경질(景質)이라 하니 의로써 제세함(由義而濟)을 경(景)이라 하고 명과실이 어긋나지 않음(名實不爽)을 질(質)이라 한다 순조(純祖)壬午1822년에 순흥의 용연사(龍淵祠)와 또 뒤에 개성의 표절사(表節祠)에 배향되다
配영양군부인남씨(英陽郡夫人南氏)로 父는 전리판서(典理判書) 휘주(暉珠)이고 祖는 판도판서(版圖判書) 유손(有孫)이며 曾祖는 전병판서(典兵判書) 성로(星老)이고 外祖는 직제학(直提學)을 지낸 단양이원간(丹陽李元幹)이다 生1男
墓문성공의 묘소 남쪽 기슭 유좌(酉坐) 합폄(合窆)이다 전보(前譜)에 배위의 묘소 가장단에 있으나 찾지 못한다고 하였는데 1912년壬子에 묘역을 개수할때에 광혈의 제도를 살펴보니 합폄(合窆)한 것이 틀림없음으로 이에 바로 잡는다
配파평군부인윤씨(坡平郡夫人尹氏) 父는 영평군(鈴平君) 척(陟)이고 祖는 도첨의찬성사(都僉議賛成事)로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인 양간공(良簡公) 안숙(安淑)이며 曾祖는 첨의정승(僉議政丞) 영평부원군에 문현공(文顯公) 요(瑤)이고 外祖는 판소부시사(判小府寺事)인 전의이광기(全義李光起)이다 生5男5女
墓공의 묘소 오른쪽 기슭 신좌(辛坐)이다 세사일자는 위와 같다 후손 응창(應昌)이 묘지를 찬하고 진성이만계(眞城李晩煃)가 묘갈을 찬하바 총록에 실리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9 세(世)
종약 子 從約(종약)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乙未1355년에 출생하여 우왕(禑王)戊辰1388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조선조에서 이조참의를 제수하였으나 취임하지 않고 마침내 지방관리로 은둔하여 12개 고을을 역임하면서 추호도 범함이 없었으며 성품이 정직 엄숙하고 굳세니 당로자(堂路者)들이 두려워 하였다 마침내 해주목사(海州牧使)로써 벼슬을 버리고 돌아와 한가로이 유유자적 하였다 조선(朝鮮) 세종(世宗)甲辰1424년3월8일에 별세하니 享年70세이다 정헌대부(正憲大夫) 이조판서(吏曹判書) 兼동지경연춘추관(同知經筵春秋館) 성균관(成均館) 의금부사(義禁府事) 홍문관대제학(弘文館大提學)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추증하다 순조(純祖)壬午1822년에 순흥의 용연사와 뒤에 또 개성의 표절사와 광주(光州)의 경현사(景賢祠)에 배향되다
配정부인동래정씨(貞夫人東萊鄭氏) 父는 단성보리찬화공신(端誠輔理贊化功臣)으로 봉원부원군(蓬原府院君)인 양도공(良度公) 양생(良生)이고 祖는 밀직(密直) 봉산군(蓬山君) 호(瑚)이며 曾祖는 판도진시사(判都津寺事)유의(惟義)이니 外祖는 첨의찬성사(僉議賛成事)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문정공(文貞公) 근재(謹齋) 안축(安軸)이다
墓파주시 교하면 야동 山84번지 신좌(辛坐) 상하분(上下墳)이다 세사는 음력10월4일이다 예조판서용재(慵齋) 성현(成俔)이 유사(遺事)를 찬하고 10대손(十代孫) 직강(直講) 영시(永時)가 묘지를 찬하며 금계(錦溪) 이근원(李根元)이 묘갈을 찬하다 또 동강(東江) 김녕한(金寗漢)이 신도비명을 찬하고 단운(丹雲) 민병승(閔丙承)이 쓴바 총록에 실리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10 세(世)
수 子 琇(수)
고려(高麗) 공양왕(恭讓王)庚午1390년에 출생하여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하고 벼슬은 군자감직장(軍資監直長)을 지냈다
配숙인하음봉씨(淑人河陰奉氏) 父는 판중추(判中樞)를 지낸 유검(由儉)이고 祖는 전각령(典閣令) 합문지후(閤門祗侯)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질(質)이며 曾祖는 금자광록대부(閤門祗侯) 벽상삼중대광도첨의정승(金紫光祿大夫壁上三重大匡都僉議政丞)을 지내고 하음부원군(河陰府院君)에 봉해진 문겸공(文謙公) 천우(天祐)이다 外祖는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한 양천허식(陽川許寔)이다
墓수원(水原)에 있다 하나 표지가 없어 찾지 못하다 영조(英祖)乙酉1765년에 후손 응진(應珍)이 함안(咸安)의 입곡(入谷)에 있는 자손들의 묘소를 국내에 사단을 설치하고 비를 세워 매년 10월상순에 제사를 올린다 일산(一山) 조병규(趙昺奎)가 단향기(壇享記)를 찬한바 총록에 실리다 사손(嗣孫) 규석(珪錫)이 후손 형렬(衡烈)과 함께 추모재(追慕齋)를 증수하고 후손 교렬(敎烈)이 재기(齋記)를 찬하다 경인(庚寅)년 6·25동란중에 불탔음으로 1954년甲午에 후손 교행(敎行) 교문(敎汶)등이 다시 추모재(追慕齋)를 건축하고 문소김황(聞韶金榥)이 재기(齋記)를 찬하다
이후(以後) 몇번의 중수(重修) 후 세월 경과 노후화로 개축(改築)이 절박하여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일영·정현·인영·익찬 외) 2013년癸巳에 한옥형 콘크리트 토와지붕으로 중건(重建)하였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11 세(世)
창공 11세
▶子 昌恭(창공)/昌原 退村
벼슬은 충순위(忠順衛) 병절교위(秉節校尉)를 지냈다 여주이씨(驪州李氏) 보첩에 이르기를 진사(進士)로 중종(中宗) 때 남곤(南袞) 심정(沈貞) 무리가 장차 화(禍)를 일으켜 선한 사람들을 해치려는 것을 보고 가족을 이끌고 함안(咸安) 모곡(茅谷)으로 은둔하였다(驪州李譜云進士中宗朝見袞貞輩將搆禍善類挈家遯于咸安茅谷) 1534년甲午4월14일卒
墓군동(郡東) 10리 정도(十里許)의 산익방(山翼坊) 입곡(入谷) 안현(鞍峴) 간좌(艮坐)이고 비석(碑石)과 상석(床石) 옹석(翁石)이 있다 후손 병렬(秉烈)이 유사(遺事)를 지었고 두산(斗山) 이준구(李準九)가 행록(行錄)을 지었으며 후손 재영(在瑩)이 구거비(舊居碑)를 모곡(茅谷) 판교(板橋) 위에 세웠는데 도로 개설로 2020년庚子12월 함안 입곡리 추모재 입구 도로변으로 옮겼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이 기문을 지어 총록(總錄)에 보인다(後孫在瑩竪舊居碑于茅谷板橋上俛宇郭鍾錫撰記見總錄)
配의인재령이씨(宜人載寧李氏) 父는 호참(戶叅)에 증직(贈職)된 개지(介智) 祖는 참의(叅議)에 증직(贈職)된 모은(茅隱) 오(午) 曾祖는 사재령(司宰令)을 지낸 일선(日善) 外祖는 목사(牧使)를 지낸 진양하경리(晋陽河敬履) 4월18일卒
墓쌍분(雙墳) 군지(郡誌) 및 기묘명현록(己卯名賢錄)에 실렸다 10월10일에 제사를 지낸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12 세(世)
우 子 우(우)
벼슬은 어모장군(禦侮將軍) 충무위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냈고 이조참판(吏曹叅判) 兼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에 증직(贈職)되었다
配증정부인안동권씨(贈貞夫人安東權氏) 父는 직장(直長)을 지낸 창(昶)
墓아버지묘(考兆)아래 제2위(第二位) 간좌(艮坐) 쌍분(雙墳)이고 비석(碑石)과 상석(床石) 망주석(望柱石)이 있다 위와 같은 날에 제사를 지낸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13 세(世)
공진 子 公軫(공진)
號는 모촌(茅村)
장사랑(將仕郞) 품계(品階)를 받았고 형조참의(刑曹叅議)에 증직(贈職)되었다 선조(宣祖)壬辰1592년12월3일卒
配증숙부인남평문씨(贈淑夫人南平文氏) 父는 진사시(進士試)에 합격(合格)한 응규(應奎) 祖는 생원시(生員試)에 합격(合格)한 범(範) 曾祖는 문과중시(文科中試)에 급제(及第)한 계조(繼祖)이고 평장사(平章事) 품계(品階)를 받은 진(軫)의 6세손(六世孫) 忌1월20일 生1男1女
后配증숙부인광주안씨(贈淑夫人廣州安氏) 父는 생원시(生員試)에 합격(合格)한 광릉자(廣陵子) 택(宅) 祖는 현감(縣監)을 지낸 용지(勇智) 曾祖는 판사(判事)를 지낸 몽득(夢得) 外祖는 별시위(別侍衛)인 함안조세번(咸安趙世蕃) 忌12월12일
墓조고묘(祖考兆)아래 제1위(第一位) 간좌(艮坐) 삼합분(三合墳)이고 비석(碑石)과 상석(床石) 망주석(望柱石)이 있다 위와 같은 날에 제사를 지낸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14 세(世)
민 子 慜(민)
字는 사심(士心)
號는 모헌(茅軒)
중종(中宗)己亥1539년生 처음 벼슬로(筮仕) 습독(習讀)을 지내고 신묘(辛卯)년 행사헌부감찰(行司憲府監察)을 받았다 임진(壬辰)년4월23일 김해(金海) 입석(立石) 강 위에서(江上)에서 적(賊)을 토벌(討伐)하고 사절(死節)하였다 순조(純祖)壬辰1832년에 함안(咸安) 두릉사(杜陵祠)에 봉향(奉享)하였고 강고(江皐) 류심춘(柳尋春)이 행장(行狀)및 상향문(常享文)을 지었다 매년(每年) 창원 사림동 퇴산서당에서 순절하신 4월23일 기신제(忌辰祭)를 지낸다
配숙부인전주최씨(淑夫人全州崔氏) 父는 형판(刑判)에 증직(贈職)된 운철(云哲) 祖는 참봉(叅奉)을 지내고 한성우윤(漢城右尹)에 증직(贈職)된 담(潭) 曾祖는 무과(武科)에 합격(合格)하여 첨사(僉使)를 지낸 윤신(潤身) 外祖는 참봉(叅奉)을 지낸 청풍김덕후(淸風金德厚)
墓입곡(入谷) 교위공묘(校尉公兆) 오른쪽산기슭(右麓) 간좌(艮坐) 쌍분(雙墳)이고 비석(碑石)과 상석(床石)이 있다 성재(性齋) 허전(許傳)이 묘비문(墓碑文)과 음기(陰記)를 지었고 총록(總錄)에 보인다 위와 같은 날에 제사를 지낸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15 세(世)
명갑 子 明甲(명갑)
字는 지원(智遠)
號는 퇴산(退山)
선조(宣祖)甲戌1574년生 벼슬은 호군(護軍)을 지내고 함안(咸安)에서 창원(昌原) 퇴촌(退村)에 처음 거주하였다 효종(孝宗)辛卯1651년3월23일卒 享年78세
墓창원(昌原) 봉림(鳳林) 적암(赤岩)아래 간좌(艮坐)이고 비석(碑石)과 상석(床石) 망주석(望柱石) 인석(人石) 사자석(獅子石) 석등(石燈)이 있다 눌재(訥齋) 김병린(金柄璘)이 비명(碑銘)을 지었고 10월13일에 제사를 지낸다
配숙부인김해김씨(淑夫人金海金氏) 父는 판사(判事)를 지내고 참판(叅判)에 증직(贈職)된 우추(遇秋) 祖는 참의(叅議)에 증직(贈職)된 영(泳) 曾祖는 교수(敎授)를 지낸 연종(連宗) 外祖는 만호(萬戶)를 지낸 밀양박사신(密陽朴士信) 忌7월28일
墓창원(昌原) 북면(北面) 월백리(月栢里) 백월산(白月山) 임좌(壬坐)에서 1990년庚午閏5월12일에 이장(移葬)하여 합폄(合窆)이다 비석(碑石)이 있으며 10월13일에 제사를 지낸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16 세(世)
수환 16세
▶子 受瓛(수환)/昌原 退村
字는 자윤(子潤)
號는 경헌(敬軒)
선조(宣祖)乙巳1605년生 1668년戊申12월24일卒
配강양이씨(江陽李氏) 父는 선교랑(宣敎郞) 품계(品階)를 받은 의남(義男) 祖는 숙(塾) 曾祖는 원개(元凱) 外祖는 진양강익창(晋陽姜翼昌) 忌7월5일
墓창원(昌原) 북면(北面) 월백리(月栢里) 백월산(白月山) 반월등(半月嶝) 어머니묘(先妣兆)아래 임좌(壬坐) 쌍분(雙墳)이고 상석(床石)이 있다 1990년庚午閏5월12일 이장(移葬)하여 창원 봉림 적암(赤岩) 선영(先塋) 고묘(考墓) 호군공(護軍公)아래 합폄(合窆)이다 10월13일에 제사를 지낸다
后配석성모씨(石城牟氏) 父는 사간(司諫)을 지낸 지곡(芝谷)
墓사파정(沙巴亭)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17 세(世)
세후 子 世厚(세후)
字는 회숙(晦叔)
號는 우정(愚亭)
인조(仁祖)甲戌1634년生 1717년丁酉12월3일卒
墓창원(昌原) 봉림촌(鳳林村)뒤 적암(赤岩)아래 조묘(祖兆)밑 갑좌(甲坐)이고 상석(床石)이 있다
配영산신씨(靈山辛氏) 父는 첨지(僉知)를 지낸 유임(有任) 祖는 주부(主簿)를 지낸 방주(邦柱) 曾祖는 태(泰)이고 판서(判書)를 지낸 사장(斯藏)의 후손 外祖는 통례(通禮)를 지낸 합천이광효(陜川李光孝) 忌6월19일
墓조비묘(祖妣兆)아래 갑좌(甲坐)이고 상석(床石)이 있다 10월13일에 제사를 지낸다 1990년庚午閏5월12일에 이장(移葬)하여 합폄(合窆)이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18 세(世)
순 子 恂(순)
字는 신백(信伯)
號는 금계(錦溪)
효종(孝宗)甲午1654년生 1723년癸卯11월1일卒
墓어머니묘(妣兆) 왼쪽 해좌(亥坐)이고 상석(床石)이 있다 위와 같은 날에 제사를 지낸다
配분성배씨(盆城裵氏) 父는 명계(命契) 祖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낸 홍례(弘禮) 曾祖는 대륜(大綸)이고 좌찬성(左賛成)을 지낸 한(漢)의 현손(玄孫) 外祖는 첨지(僉知)를 지낸 정하남(鄭賀男)
墓창원(昌原) 북면(北面) 백월산(白月山) 증조비묘(曾祖妣兆) 동쪽 임좌(壬坐)이고 상석(床石)이 있다 10월13일에 제사를 지낸다 1990년庚午閏5월12일에 봉림(鳳林) 마을 뒤 적암(赤岩)아래 증조묘(曾祖兆)아래로 이장(移葬)하여 합폄(合窆)이다
后配청송심씨(靑松沈氏) 父는 진사시(進士試)에 합격(合格)한 세로(世櫓) 祖는 참봉(叅奉)을 지낸 곤수(崑壽) 外祖는 진사시(進士試)에 합격(合格)한 창녕조이관(昌寧曺以觀)
墓남면(南面) 모산(毛山) 용지(龍池)위 석수등(石峀嶝) 간좌(艮坐)이고 10월13일에 제사를 지낸다 1990년庚午閏5월12일에 이장(移葬)하여 삼합폄(三合窆)이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19 세(世)
성주 系子 聖輈(성주)
生父恬
字는 은징(殷徵)
숙종(肅宗)庚午1690년生 1733년癸丑3월5일卒
墓창원(昌原) 북면(北面) 월백리(月栢里) 반월등(半月嶝) 임좌(壬坐)이고 상석(床石)이 있다 10월17일에 제사를 지낸다
配영산신씨(靈山辛氏) 父는 두첨(斗瞻) 祖는 호(灝) 曾祖는 군수(郡守)를 지낸 초(礎) 外祖는 재령이현배(載寧李玄培) 忌3월1일
墓이장(移葬)하여 합폄(合窆)이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20 세(世)
중현 子 重玹(중현)
字는 언보(彦寶)
경종(景宗)辛丑1721년生 절충장군(折衝將軍)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증직(贈職)되었다 갑인(甲寅)년卒
墓상림(上林) 마을 뒤 간좌(艮坐)이고 비석(碑石)과 상석(床石)이 있다 삼취당(三翠堂)인 안용호(安龍鎬)가 비문(碑文)을 지었고 10월17일에 제사를 지낸다
配숙부인창녕성씨(淑夫人昌寧成氏) 父는 구연(九淵) 祖는 호군(護軍)을 지낸 대임(大臨) 曾祖는 통덕랑(通德郞) 품계(品階)를 받은 남정(南井)이고 직제학(直提學)을 지낸 사재(思齋)의 후손 外祖는 밀양박천로(密陽朴天老)
墓상림(上林) 독산 간좌(艮坐) 합폄(合窆)이다 10월17일에 제사를 지낸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21 세(世)
필복 子 必復(필복)
字는 광여(光汝)
號는 학고(鶴臯)
영조(英祖)辛未1751년生 정조(正祖)丁巳1797년4월24일卒
墓봉림(鳳林) 증조고묘(曾祖考兆)아래 해좌(亥坐)이고 상석(床石)이 있다
配상산김씨(商山金氏) 父는 명대(鳴大) 祖는 석하(錫夏) 曾祖는 성(晟)이고 판서(判書)에 증직(贈職)된 명윤(命胤)의 5대손(五代孫) 外祖는 재령이재식(載寧李載植) 忌4월7일
墓남면(南面) 상림(上林)뒤 독산(獨山) 계좌(癸坐)이고 상석(床石)이 있다 10월17일에 제사를 지낸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22 세(世)
수의 子 守儀(수의)
字는 내응(來應)
號는 근암(槿庵)
又號는 피암자(波岩子)
정조(正祖)己亥1779년生 문행(文行)이 있다 신해(辛亥)년10월12일卒
墓어머니묘(妣兆)아래 해좌(亥坐)이고 상석(床石)이 있다 유사가 있다
配용성송씨(龍城宋氏) 父는 상규(尙奎) 祖는 천록(天祿) 曾祖는 덕년(德年) 外祖는 광주이춘식(光州李春植) 忌9월1일
墓봉림(鳳林) 뒷산 임좌(壬坐)이고 위와 같은 곳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23 세(世)
두철 子 斗喆(두철)
字는 정수(正秀)
號는 퇴은(退隱)
순조(純祖)己巳1809년5월20일生 1876년丙子1월8일卒
성품이 어질고 부역(賦役)등을 덜게 하니 고을 사람들이 송덕비(頌德碑)를 용지촌(龍池村) 앞에다 세웠는데 일제(日帝)시대 통신(通信)시설을 세우면서 화(禍)를 입자 현손(玄孫) 승달(承達)이 퇴촌(退村) 안산(案山) 유화정(柳花亭)으로 옮겨 세우고 5대손(五代孫) 택영(宅榮)이 창원(昌原) 도시계획(都市計劃)에 저촉되자 대곡(大谷)으로 옮겨 새 비석을 세웠다 그 후 2013년癸巳11월24일 곤손 희상이가 창원시 협조하에 창원의 집 경내로 이전하였다 유사(遺事)가 있다 삼취당(三翠堂) 안용호(安龍鎬)가 비문을 지었다(性仁惠捐貲蠲役邦人頌德立碑閭龍池村前及日帝時通信建設被禍玄孫承達移建于退村案山柳花亭五代孫宅榮昌原都市計劃退村案山大谷移建又新碑建立撰竭三翠堂安龍鎬
配전의이씨(全義李氏) 父는 기원(基遠) 祖는 형국(衡國) 曾祖는 희영(喜榮)이고 농수(聾叟) 산립(山立)의 후손 外祖는 밀양손술로(密陽孫述魯)
墓상림(上林) 조묘(祖兆) 왼쪽산기슭(左麓) 해좌(亥坐) 합폄(合窆)이고 비석(碑石)이 있다 일산(一山) 조병규(趙昺奎)가 지었고 10월17일에 제사를 지낸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24 세(世)
정석 子 貞錫(정석)
初諱는 경옥(敬鈺)
字는 응오(應五)
號는 소헌(嘯軒)
헌종(憲宗)丙申1836년5월20일生 벼슬은 통사랑(通仕郞)으로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을 지내는데 을유(乙酉)년 하양현감(河陽縣監)을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았다(通仕郞繕工監假監役乙酉春執政以河陽縣絶意不起) 신해(辛亥)년8월6일卒 유사(遺事)가 있다
墓2021년辛丑11월 봉림(鳳琳) 선영(先塋)으로 이장(移葬)
配의인여주이씨(宜人驪州李氏) 父는 원신(元新) 忌5월12일
墓2021년辛丑11월 봉림(鳳琳) 선영(先塋)으로 이장(移葬) 生2男2女
后配의인파평윤씨(宜人坡平尹氏) 父는 찬주(纉周) 忌9월9일
墓2021년辛丑11월 봉림(鳳琳) 선영(先塋)으로 이장(移葬) 生1男2女
三配의인창녕성창희(宜人昌寧成昌喜) 父는 재형(載亨) 无育
墓남면(南面) 봉림(鳳林) 뒷산 계좌(癸坐)이고 상석(床石)이 있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25 세(世)
교우 子 敎佑(교우)
字는 문로(文老)
號는 효암(曉岩)
철종(哲宗)乙卯1855년12월14일生 효행(孝行)과 유사(遺事)가 있다 을묘(乙卯)년정월29일卒 유사가 있다
墓봉림(鳳林) 마을 뒤 선영(先塋)아래 계좌(癸坐)이고 비석(碑石)이 있다 희당(希堂) 김수(金銖)가 전문(傳文)을 지었고 비석(碑石)이 있다
配밀양손진숙(密陽孫振淑) 父는 통덕랑(通德郞) 품계(品階)를 받은 익수(益秀) 忌10월24일
墓2021년辛丑11월 창원시 도시계획에 의하여 봉림(鳳琳) 선영(先塋)으로 이장(移葬)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26 세(世)
지현 子 祉鉉(지현)
初諱는 구호(九鎬)
字는 숙경(叔京)
號는 퇴우(退愚)
1887년丁亥12월14일生 문행(文行)이 있다 1922년壬戌10월12일卒
墓단복(檀伏) 경석(庚錫)이 비명(碑銘)을 지었다 2021년辛丑11월 봉림(鳳林) 선영(先塋)으로 이장(移葬)
配연안김순례(延安金順禮) 父는 사과(司果)를 지낸 진기(鎭基) 1886년丙戌生 1944년甲申3월23일卒
墓봉림(鳳林) 5대조고묘(五代祖考兆) 왼쪽산기슭(左麓) 임좌(壬坐)이고 상석(床石)이 있다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27 세(世)
승달 子 承達(승달)
字는 형진(亨珍)
號는 운산(雲山)
1905년乙巳2월11일生 1980년庚申5월20일卒
墓6대조비 선영(六代祖妣先塋) 왼쪽산기슭(左麓) 임좌(壬坐)이고 비석(碑石)이 있다 함안조광제(咸安趙光濟)가 비명(碑銘)을 지었다
配밀양손복수(密陽孫福守) 父는 영억(永億) 祖는 진사시(進士試)에 합격(合格)한 익현(翼鉉) 曾祖는 진화(振華) 外祖는 안찰사(按察使)를 지낸 광주안종덕(廣州安鍾悳) 1902년壬寅2월27일生 1978년戊午9월30일卒
墓조고(祖考) 선영(先塋) 왼쪽산기슭(左麓) 임좌(壬坐)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28 세(世)
택영 子 宅榮(택영)
號는 중녕(衆寧)
1931년辛未3월7일生 동아대학교졸업 법학사 2004년甲申陰9월12일卒 1984년甲子 사택 성퇴헌(省退軒)을 창원의 집으로 개칭
墓봉림(鳳林) 선영(先塋) 쌍분(雙墳)이고 상석(床石)이 있다
配옥산장희주(玉山張喜珠) 父는 창환(昌煥)이고 송암(松菴) 관(灌)의 후손 1936년丙子2월12일生 2020년庚子陰8월12일卒
墓봉림(鳳林) 선영(先塋) 쌍분(雙墳)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29 세(世)
희상 子 熙常(희상)
號는 퇴강(退岡)
1959년己亥8월20일生 2013년癸巳 6대조(代祖) 퇴은안공 두철 선정비를 창원시 협조를 받아 창원의집 경내로 이전 보존 국사편찬위원 창원시 기록물 평가위원 창원향토사 회장 역임 순흥안씨 창원종친회장
配밀양박지숙(密陽朴智淑) 父는 상익(相益) 1963년癸卯1월26일生
세(世) 이 름 족 보 등 재 내 용
30 세(世)
인재 子 寅材(인재)
1990년庚午陰3월26일生
配밀양박정인(密陽朴正仁) 1990년庚午陰10월24일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