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흥안가 정려
순흥안씨 정려(旌閭)-충신(忠臣)
정려란 충신. 효자. 열녀들을 본받고 그들의 넋을 기리고자 동네에 碑閣이나 門을 세워 표창한 것을 말한다.
성 명(姓名) |
공 적(功績) |
안원(安瑗) 1派8世 |
高麗의 刑曹典書. 高麗가 亡하매 李朝에 不服하다. 景質이라 贈諡하다. |
안조동(安祖同) 1派8世양공공파 |
高麗 藝文提學 1388년 高麗 禑王14 戊辰에 威化島回軍 禑王廢位 등 崇仁門禍亂에 死하다. |
안준(安俊) 2派8世 |
高麗의 奉常寺事 高麗가 亡하매 流配를 당하고 평생 도롱이와 삿갓을 쓰고 지내다. |
안리(安理) 1派10世서파공파 |
李朝 端宗 1456년 丙子에 醴泉郡事로 있다 벼슬을 버리고 돌아와 不仕하다. |
안귀행(安貴行) 3派11世 |
端宗 1456년 丙子에 陽城縣監으로 있다 벼슬을 버리고 돌아와 不仕하다. 正租 1799 己未에 大司諫을 특히 贈職하다. |
안수(安琇) 1派14世찬성공파 |
文科 獻納, 明宗 1555년 乙卯에 體察使로 湖南 海寇 征伐에 李浚慶 從事官으로 나아가 영암에서 立殣하다. |
안영(安瑛) 1派16世참찬공파 |
宣祖 丙子胡亂때 금산에서 殉死하다. 承旨를 贈職받고 祠享되다. |
안홍국(安弘國)2派13世 |
보성군수로 壬辰倭亂때 龍彎으로 王駕를 扈從하고 丁酉再亂때 안골포에서 殉死하다. 左贊成을 贈職받고 忠顯이라 諡하다. 旌閭祠享되다. |
안민(安慜) 1派14世직장공파 |
감찰로 壬辰倭亂때 金海에서 殉死하다. |
안전(安琠) 1派14世찬성공파 |
단성현감으로 壬辰倭亂때 行在所로 가는 도중에 殉死하다. |
안수화(安守和) |
壬辰倭亂때 巡察使 申砬을 따라 從軍. 탄금대에서 殉死하다. 兵曹參判을 贈職받고 旌閭되다. |
안의손(安義孫) 1派16世찬성공파 |
부령부사로 壬辰倭亂때 藍浦에서 殉死하다. 左贊成을 贈職받다. |
안징(安徵) 2派13世 |
壬辰倭亂때 熊峙에서 立殣하다. 祠享되다. |
안신갑(信甲) 1派15世직장공파 |
군수로 壬辰倭亂때 復讐將이 되다. 판결사를 贈職받고 旌閭되다. |
안신손(安信孫) 죽산 |
선공감의 注簿로 壬辰倭亂때 공을 세우고 聖廟 守備하다. 吏曹參議를 贈職받다. |
안사제(安嗣悌) |
判官으로 壬辰 丁酉再亂때 義兵을 일으켜 累差 功을 세우다. |
안흥종(安興琮) 1派13世직장공파 |
禧陵參奉으로 壬辰倭亂때 晋陽에서 殉死하다. |
안의(安義) |
武科 萬戶로 壬辰倭亂때 唐津浦에서 殉死하다. |
안려(安慮) |
參奉으로 壬辰倭亂때 健元陵 齋閣에서 焚死하다. |
안몽정(安夢井) |
茂長縣監으로 壬辰倭亂때 李鎰軍中에서 立殣하다. |
안성호(安成好) |
參奉으로 壬辰倭亂때 義兵을 일으켜 싸우다 밀려 水死하다. |
안온(安溫) |
生員으로 壬辰倭亂때 義兵을 일으켜 오래도록 城을 지키고 抗拒하다 朝廷에 알려졌고 錄功받지 않다. |
안홍(安泓) |
壬辰倭亂때 從兄 溫과 함께 더불어 城을 지켜 여러번 功을 세우다. |
안치화(安致和) |
縣監으로 壬辰倭亂때 殉死하다. |
안세희(安世熙) |
府使로서 壬辰倭亂때 殉死하다. |
안세걸(安世傑) |
鍾城府使로 壬辰倭亂때 殉死하다. |
안옥(安鋈) |
萬戶로서 壬辰倭亂때 王子를 暗行하고 雙浦岑에서 功을 세우다. |
안헌(安憲) |
奉事로 壬辰倭亂때 復讐將이 되어 南海에서 殉死하다. |
안명선(安明善) |
司直으로 丁酉再亂때 殉死하다. |
안 수( 㻽 ) |
仁祖 1624년 甲子에 李适亂에 義兵을 일으켜 賊을 平定하고 나라 창고를 지키고 食糧을 調達하다. 1636년 丙子胡亂때 義擧하여 鄭弘溟 陣中으로 달려가다. |
안영남(安潁男) |
定州牧使로 丙子胡亂때 凌漢城에서 殉死하다. 正祖 1784년 甲辰에 旌閭하다. |
안용(安瑢) |
縣監으로 丙子胡亂때 義兵을 일으켜 여러번 승리했으나 媾和가 이루어지매 痛憤하여 돌아와 卒함. |
안건(安王建 ) |
丙子胡亂때 義兵을 일으키다. 戶曹佐郞을 贈職받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