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次詠歸臺韻 흘와

자라가슴 2020. 2. 29. 22:18

次詠歸臺韻
淸溪曲曲抱亭流  鎭日無聊坐白頭  半世風塵名利遠  一江烟雨夢魂幽   

雲連海氣琴書濕  月挹波光枕簞留  却恨當年言志席  舞雩春服未同遊

맑은사내 굽이굽이 정자를 껴안고 흐르고

하루종일 무료하게 백발 늙은이 앉아있네

반평생 풍진 세상에 명성과 이익 멀리 하였네

온 강가 안개비 속에 꿈속 넋조차 아득 하여라

바다에 이어진 구름기운 거문고와 책 적시고

물에 비치는 달빛이 베개와 그릇에 스며드네

다만 한스러운 건 그 해 뜻을 말한 자리에서

유유자적 하는 증심을 함께 배우지 못함이라 (증심..즐거움)

安聖一 斗馨 

詠歸臺韻 소산김기호
淸溪一曲抱村流  林壑前期老白頭  碧澗無窮千里逝   空山有待百年幽   

萬川月色波心照  一片臺名石面留  若使靈區長不改   後人應說古人遊

맑은시내 한 구비 마을안고 흐르는 곳

숲과골 그 속에서 늙기로 작정했네

푸른시내 맑은물 끝없이 흘러가고

빈 산은 기다린 듯 백년이나 그윽하네

시내마다 달빛이 물 속을 비추는데

한 조각 누대 이름 석면에 세겨졌네

이 좋은 명승지가 영원히 안 변하면

후인들은 말하겠지 성인들이 노니던 곳이라고


安聖一

詠歸亭韻 안희원

瀟灑新亭影蘸流  閒雲淡月入簾頭  已聞扁揭心先爽  遙想藏修夢亦幽    

天作名區塵外在  人言高士此中留  千古遺風猶未絶  年年每作暮春遊


詠歸亭記 (만성 박치복)

沂魯水也舞雩其城南之壇也浴而風而詠歸者日 不知其幾千百人而夫子獨喟然與於子晢之言尙 論者以爲有鳳翔千仞氣像何也蓋三子之撰願乎 外者也舍瑟之對不過卽其所居之位樂其常行之 事而語其至浩然有上下與天池同流意今讀至此 自不覺手舞足蹈庶幾有得於人欲淨盡天理流行
:: 0155 ::
之妙聖師之與不其在斯歟安君性一從性齋許先 生學得聞君子行己之要築小亭於溪上磐陀石上 顔之曰詠歸性一蓋有意於聖門之狂者也聖不可 階而岐及則必也其次乎學其次則終可以裁之以 中行矣恒人之生有克伐焉怨欲焉憂戚焉忿懥焉 方其情熾性鑿熇熇炎炎義不勝私體不從令于斯 時也濯淸川之流灑北窓之凉朗誦程叔子四勿箴 范蘭溪心箴數遭俛仰宇宙歷覽昭曠則靈臺瀅徹 表裏無間怨思消釋欲戒偏系憂戚則循理排遣忿 懥則平心恕物端緖昭著瞭然在目中斯可謂善學
:: 0156 ::
曾氏矣不然則魯城南豈少詠歸人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