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松亭先生實記序[安夢伯]] 안몽백 송정
자라가슴
2020. 3. 6. 09:34
松亭先生實記序[安夢伯]] 안몽백 송정| 경남학
[松亭先生實記序[安夢伯]] 壬辰(1832,순조32)重陽進士安夢伯 序 1832년 9월에 안몽백(安夢伯)[1762~1838]이 지은 서문-松亭先生實記 안몽백(安夢伯)[1762~1838] 嶠南誌卷之六十五 咸安郡 人物 安夢伯 竹溪憙后號惶齋純廟進 士以文章行誼見推士友 竹溪先生文集 安憙(1551~1613) 彦優(언우) 竹溪(죽계) 順興(순흥) 竹溪 安憙(1551-1613)의 시문집 안희의 5대손 安應瑞가 榮川의 사인 李載翊에게서 얻어 보관하고 있던 것과 제현들에게서 수집한 것을 모아 후손 安璣燮·安暾燮 등의 編校를 거쳐 1890년 간행되었다. 家狀(21) (신해, 1791,정조15) 1851년(철종2) 안희의 6대손 安夢伯이 지었다. 罪庶爲立言君子矜閔闡幽之資云歲在辛亥三 月日六代孫夢伯謹狀 先生之沒今將二百年志行之述訖未有屬筆 1 晩默堂文集 李景茂 [晩默堂集跋] [跋] [晩默堂集跋[安夢伯]] 2 松亭先生實記 姜文弼 松亭先生實記 序 [松亭先生實記序[安夢伯]] 3 松亭先生實記 姜文弼 松亭先生實記卷之一 附錄 行狀 進士順興安夢伯 4 雙忠實紀 崔均 雙忠實紀卷之二 [贈] 贈職梵黃韻 ○安夢伯 5 龍岡先生文集 李秉烈 龍岡先生文集卷之三 附錄 挽詞 安夢伯 坪川書院奉安文(1) 이는 경남 함안군 군북면 명관리에 있었던 坪川書院에 茅菴 朴希參의 위패를 봉안하면서 지은 글로, 縣監 李正履(1783-1843)가 지었다. 이정리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全州, 자는 審夫, 호는 醇溪이다. 1807년(순조 7) 진사시에 합격하여 康陵參奉과 의령현감을 지냈다. 1835년(헌종 1) 의령현감으로 있으면서 增廣文科에 병과로 급제한 뒤 典籍이 되었다가 그 이듬해 春秋館 記注官으로 『純祖實錄』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常享文(1) 이 글은 坪川書院의 常享文으로, 현감 李正履가 지었다. 書院講堂欐文(3) 이 글은 坪川書院의 강당을 지으면서 上樑할 적에 지은 상량문으로, 順興 安夢伯이 지었다. 家狀(6) 이 글은 모암의 11세손 朴永一이 지은 家狀이다. 行狀(6) 이 글은 朴馹 형제와 朴永一의 청에 의해, 생원 安夢伯이 지었다. 茅菴松溪合稿序 1(2) 모암이 살던 고을의 趙昺奎(1849- ? )가 지었다. 그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우리 선조인 典書公이 고려가 망하자 咸安의 平廣里에 은거하였다. 조선 단종이 세조에게 讓位하자 박씨의 선조인 著作公도 역시 이곳에 은거하였다. 그의 현손인 茅菴 朴希參은 우리 집안의 외손이다. 일찍이 과거 공부를 하였으나, 小科에 9번 떨어지고는 爲己之學에 전념하였다. 南冥 曺植과 친하였는데, 두 아들인 松嵒 朴齊賢과 篁嵒 朴齊仁을 그에게 보내 배우게 하였다. 성종 때 유일로 천거되어 參奉을 두 번 지냈으나, 어버이가 늙어 봉양해야 한다는 이유로 사직하였다. 寒岡 鄭逑가 그의 인품을 칭찬하고 행적을 邑誌에 수록하였다. 세상을 떠난 뒤에 坪川書院에 배향되었다. 遺文이 거의 없어진 것이 안타깝다. 공의 손자인 松溪 朴珆의 문집을 뒤에 붙여서 함께 간행한다. 茅菴松溪合稿序 2(2) 모암의 12세손 朴圭煥이 지었다. 남명 조식이 雷龍亭에서 講道할 때 茅菴 朴希參이 도의로 종유하였고, 그의 두 아들을 보내 배우게 하였다. 寒岡 鄭逑가 함안군수로 와서 공을 보고 ‘박모는 충후한 장자로서 우뚝하니 고인의 풍도가 있다.’라고 칭찬하였다. 『御覽誌』에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신명에게 질정할 만하다. 顔回의 養志을 계승하고, 曾參과 閔子蹇을 아우른 듯하다.”라고 하였으니, 행실이 다듬어져 크게 온전하였음을 징험할 수 있다. 성종 때 유일로 천거되어 참봉을 지냈다. 그러나 부모 봉양을 이유로 사직하고 돌아왔다. 1825년(순조 25) 坪川書院에 향사되었다. 안몽백(安夢伯) 1762~? [생원] 순조(純祖) 3년(1803) 계해(癸亥)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57위(87/100) 자(字) 옥여(玉汝) 생년 임오(壬午) 1762년 (영조 38) 합격연령 42세 본인본관 순흥(順興) 거주지 함안(咸安)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사마시소답안 이의(二義) 부모구존 영감하(永感下) [부(父)] 성명 : 안응수(安應璲) 관직 : 학생(學生) [안항(鴈行)] 형(兄) : 안택윤(安宅允) [출전]『숭정3계해춘대전중궁전진후평복합2경경과별시증광사마방목(崇禎三癸亥春大殿中宮殿疹候平復合二慶慶科別試增廣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朝26-29-74]) |